본문 바로가기
환자가 흩어져있는 개인의 의료정보를 한곳에 통합 저장해 직접 데이터를 관리하고 유통한다. 병원, 제약사, 보험사 등 원하는 곳에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환자는 보다 편리하고 나은 서비스로 보상받을 수 있다. 2017년 4월 탄생한 ‘메디블록'이 그리는 환자 중심의 의료 생태계 모습이다. 메디블록(MEDIBLOC)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분산형 개인건강기록(PHR)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한다. 블록체인 기술로 신뢰성이 보장된 환자 의료정보를 유통하고 활용할 수 있다. 메디블록은 기존에 금융거래, 유통산업에 많이 활용되던 블록체인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가 국내 투자기관으로부터 600억원을 조달했다. 레고켐바이오는 이 자금을 그람양성 수퍼박테리아 치료제로 개발중인 델파졸리드(Delpazolid, LCB01-0371)의 글로벌 2b상, 신사옥 매입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레고켐바이오는 지난 2일 600억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4일 밝혔다. 우선주 140만 8447주를 발행해 시설자금 100억원, 운영자금 500억원을 조달하는 내용이다. 이번 증자에는 쿼드자산운용, 알펜루트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참여했으며 모두 우선주 발행 후 1년간 보호
테라젠이텍스 자회사 메드팩토가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개발을 위해 항암 신약물질 '백토서팁'(TEW-7197)'과 아스트라제네카의 면역항암제 '더발루맙(Durvalumab, 상품명: 임핀지)’을 병용투여하는 임상 1b/2a상을 승인받았다. 4일 식약처에 따르면 이번 임상은 화학요법 후 진행한 진행성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 63명을 대상으로 백토서팁과 더발루맙 병용요법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및 항종양 활성을 평가하는 1b/2a상으로 연세대세브란스병원과 국립암센터에서 진행된다. 메드팩토는 지난 7월 MSD, 아스트라제네카와
GC녹십자랩셀이 자연살해세포 항암제 ‘MG4101'의 적응증을 간암에서 난치성 림프종으로 확대한다. GC녹십자랩셀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재발성 및 불응성 B세포 기원 비호지킨 림프종 환자를 대상으로 한 MG4101의 임상 1/2a상 시험계획을 승인받았다고 2일 공시했다. MG4101은 정상인의 혈액에서 암이나 비정상 세포 파괴기능을 하는 동종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 NK Cell)를 분리해 증식 배양한 세포치료제다. 자연살해세포 기반의 항암제는 아직까지 전세계적으로 상용화된 적이 없다. 이번 임상시험은
파멥신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타니비루맵(TTAC-0001)' 임상 2상 승인신청서(IND filing)를 승인받았다고 2일 밝혔다. 임상은 아바스틴(베바시주맙) 불응성 재발성 교모세포종(recurrent GBM)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다. 재발성 교모세포종은 가장 예후가 나쁜 암종 중 하나로 아바스틴이 유일한 약물이다. 아바스틴은 일시적으로 뇌부종(cerebral edema)을 완화하는 용도며, 생존율을 늘리는 효과는 없다. 아바스틴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에게는 치료 옵션이 없는 실정이다. 타니비루맵은 아바스틴과 뇌부
에이치엘비는 자회사 LSKB가 지난 1일 식품의약품 안전처로부터 위암에서 '리보세라닙' 병용요법 임상 1/2a상 승인을 받았다고 2일 밝혔다. 임상시험은 1차 표준 치료에 실패한 38명의 진행성 위암 또는 위식도접합부암 환자 대상으로 리보세라닙과 기존 항암제 ‘파클리탁셀’을 18개월간 병용투여한다. 위암 환자에서 3차 치료제로 리보세라닙 글로벌 임상 3상을 마무리하는 단계에서 적응증 확대 임상을 시작했다. 임상 1상에서 9~18명 환자 대상으로 파크리탁셀(80mg/㎡)과 리보세라닙 병용투여의 최대 내약용량을 확인하고, 임상 2상 적
시선바이오머티리얼스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원하는 ‘바이오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의 ‘빅데이터 기반의 ADHD 및 지적장애의 진단-치료용 차세대 플랫폼 개발’ 과제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2일 밝혔다. 이번 과제는 서울대병원(김붕년 교수팀)과 인공지능 기업 아크릴도 참여하며 앞으로 3년 9개월간 총 30억원의 정부 지원을 받아 진행된다. 진단-치료용 차세대 플랫폼은 유전체 기반의 바이오마커 발굴 및 분석 알고리즘 개발 등을 통해 소아와 학령기 아동에서 약 15%의 발병률을 보이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와 지적장애의 객관적이고
메디톡스가 2018년도 2기 신입사원 공채를 오는 14일까지 진행한다. 2일 회사측에 따르면 이번 공채는 ▲R&D(연구개발) ▲임상 ▲RA ▲경영/관리 ▲생산 ▲영업 등 6개 부문 20개분야에서 진행되며 총 50여명의 신입사원을 선발할 계획이다. 채용 전형은 온라인 서류 전형과 면접 전형으로 진행되며 각 전형 별 합격자에 한해 개별 통보된다. 입사 희망자는 메디톡스 홈페이지(www.medytox.com)를 방문해 10월 14일 자정까지 지원서를 작성, 제출해야 한다. 메디톡스 인사팀 손용수 이사는 “이번 공개 채용은 2022년까지
지놈앤컴퍼니가 영진약품과 면역항암제 병용치료를 위한 신약 후보물질 발굴을 위한 플랫폼의 기술이전 및 공동연구 계약을 지난 1일 체결했다. 2015년 9월 설립된 지놈앤컴퍼니가 이뤄낸 첫번째 기술이전 성과다. 지놈앤컴퍼니는 면역항암제 병용요법으로 사용할 후보물질 발굴을 위해 독자 개발한 플랫폼 기술인 'GENOME-IO(지놈아이오)'을 영진약품에 기술이전하고, 영진약품으로부터 기술사용료를 받기로 했다. GENOME-IO 플랫폼기술로 도출된 신약 후보물질은 영진약품과 지놈앤컴퍼니가 공동연구계약을 통해 상업화를 위한 개발 및 상업화 권
PeopleBio, located in Pangyo, Gyeonggi-do is a biotech company which has developed a blood diagnostic kit on neurodegenerative diseases including Alzheimer’s disease. Its kit, capable of detecting the level of oligomerized amyloid beta, involved in AD pathology, in plasma was approved as the class I
추석 연휴가 낀 9월 바이오기업 투자 유치는 코스닥 기업들이 주도했다. 바이로메드를 비롯해 큐리언트, 에이치엘비, 아이진 등이 유상증자와 전환사채 발행을 통해 수백억원 규모의 자금을 확보하는데 성공했다. 2일 바이오스펙테이터 집계에 따르면 9월에는 8개 바이오기업이 약 23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기업 수는 전달(19개)에 비해 적었지만 기업별 투자유치 규모가 컸다. 코스닥 시장에서 주목받는 바이오기업들이 대거 투자유치에 나선 탓이다. 코스닥 바이오기업 주가 반등과 투자심리 회복에 따라 코스닥벤처펀드들의 자금이 유명 바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제임스 P. 앨리슨(70) 미국 텍사스주립대 앤더슨 암센터 교수와 혼조 다스쿠(76) 일본 교토대 명예교수가 선정됐다. PD-1, CTLA-4 등의 단백질 연구를 통해 암 치료의 신기원을 연 면역항암제 탄생에 일조한 공을 인정받았다. 스웨덴 카롤린스카의대 노벨위원회는 1일(현지시간) 앨리슨, 혼조 교수를 2018년 노벨생리의학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노벨위원회는 앨리슨 교수와 혼조 교수에 대해 “올해 생리의학상 수상자들은 종양 세포를 공격하는 면역체계의 고유한 능력을 활성화함으로써 암
수젠텍이 중국 체외진단기업인 지아원(Jiawen)과 현장진단 분석기기 제품을 공급한다. 중국 판매허가 획득 이후 5년간 최소 500대를 공급하는 계약이다. 수젠텍은 중국 분자진단업체 다안진 그룹의 현장진단 분석기기 사업 자회사인 지아원과 현장진단 분석기기 제품인 'INCLIX analyzer(인클릭스 애널라이저)'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지아원은 인클릭스 애널라이저에 대한 중국 총판권을 갖고 중국식약청(CFDA) 판매허가를 획득한 후 5년 동안 중국 내 판매 및 유통을 진행할 예정이다. 협의
한올바이오파마가 지난해 중국 하버바이오메드(HBM)에 기술이전한 안구건조증 치료제 'HL036(HBM9036)'이 중국의약품관리국(NMPA)으로부터 임상 2상 IND를 승인 받았다고 1일 밝혔다. 하버바이오메드는 180명의 안구건조증 환자에게 1일 2회씩 8주간 안구에 점안해, 각막 손상억제 정도와 눈의 불편감 감소 등 평가지표를 측정할 계획이다. 한올바이오파마는 자체 글로벌 임상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미국 임상2상 시험을 완료했으며, 내년 초부터 미국 임상 3상을 시작할 계획이다. 미국 임상2상 결과는 이번 달에 미국 시카고에
강스템바이오텍은 1일 아토피 피부염 줄기세포 치료제 ‘퓨어스템 에이디주’의 유럽 임상 시험을 위해 벨기에 마스터셀(MaSTherCell)과 의약품위탁생산(CMO), 프랑스 바이오트라이얼(Biotrial)과 의약품위탁임상(CRO)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퓨어스템 에이디주’의 유럽 임상 시험 준비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강스템바이오텍은 2017년 10월 유럽의약품청(EMA)과의 사전 미팅을 통해 국내 1상 임상시험 결과를 인정받은 바 있다. 이에 따라 2019년 EMA로부터 임상시험계획서(CTA)를 승인받아 유럽 2상에
알츠하이머병 원인을 치료하는 약물(disease-modifying drug)이 나올까? 알츠하이머병 분야는 증상 완화제에서 치료제 개발로 점차 무게가 실리고 있다. 제프리 커밍스(Jeffrey Cummings)가 알츠하이머병&디멘시아(Alzhimer's&Dementia)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 30일 기준 미국 임상정보사이트인 clinicaltrials.gov 등록한 임상 3상 단계의 알츠하이머병 신약은 26개다. 그중 치료제는 65%(17/26)로 나머지는 증상 완화제다. 임상 단계에 있는 약물은 총 112개로 치료제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 "결정"
박순재 알테오젠 "1개월 플랫폼 개발..2027년 비만임상"
BMS, 'PRMT5 저해제' 새 단서? "EGFR 폐암 ORR 57%"
큐로셀, 100억 규모 CB 발행 결정
보로노이, 'RIPK1 저해제' 美앤비아서 옵션행사 "양도"
이노퓨틱스, 'AAV' 파킨슨병 "국내 1상 IND 승인"
메이즈, ‘SLC6A19 저해제’ PKU 1상 "긍정적"..주가 급등
코스타시스, '비강투여' 부메타니드 이뇨제 "美 승인"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지아이이노, CD80-IL2+마이크로바이옴 "항노화 임상"
마티카바이오랩스, 사이알바이오와 CDMO 계약
앱클론, '네스페셀' 식약처 개발단계 희귀의약품 지정
삼성바이오로직스, 바이오프로세스 인터내셔널 "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