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아쏘시오홀딩스의 계열회사인 에스티팜은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치료제 신약 후보물질인 ‘STP03-0404’가 미국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의 생명과학 분야 연구프로젝트 지원사업(R01) 과제로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에스티팜은 미국 에모리대학교의 김백 교수팀과 공동으로 STP03-0404의 작용기전 확립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과제 선정으로 연구팀은 미국 NIH로부터 향후 5년간 약 139만달러(약 15
◇ 심혈관 질환 연구의 시작 현대사회가 발전하고 평균 수명이 늘면서 질병에 걸릴 위험도 함께 증가했다. 암과 심혈관질환은 대부분 서구화된 사회에서 높은 사망원인 중 하나로 집계된다. 2017년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도 암과 심혈관질환이 사망원인 1, 2위다. 심혈관질환 위험요소에 대한 연구 시초는 1940년대 시작된 대단위 임상연구인 프레밍햄 심장 연구(Framingham Heart Study)에서 기인한다[1]. 이후 후속 연구들에 의해 흡연, 고혈압, 콜레스테롤, 당뇨병 등이 위험요소로 밝혀졌다. 근래에
클리노믹스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폐암 동반진단키트 'AmoyDx ROS1 Gene Fusions Detection Kit'의 3등급 의료기기 품목 허가를 받았다. 동시에 이 제품을 이용한 유전자검사의 신의료기술을 인증받았다고 23일 밝혔다. AmoyDx ROS1 동반진단키트는 아시아인의 경우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2~3% 정도에서 확인되는 ROS1 유전변이를 검출해, 폐암 치료제인 화이자의 '잴코리(크리조티닙)' 대상 환자군을 선별하는 동반진단 검사다. AmoyDx ROS1는 클리노믹스가 중국 암 진단회사인 Amoy Diagn
로슈(Roche)는 절제 불가능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NBC) 환자의 1차 치료제로 '티쎈트릭(Tecentriq, 성분명: Atezolizumab)'과 화학요법인 '아브락산(Abraxan, 성분명: albumin-bound paclitaxel)'을 병용 투여한 임상 3상(IMpassion130 study)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했다고 지난 20일 발표했다. 면역항암제 티쎈트릭은 종양세포나 종양 침윤 면역세포에서 발현하는 PD-L1에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
부광약품은 자회사인 덴마크 콘테라파마가 개발중인 ‘레보도파로 유발된 이상운동증 (LID) 치료제(JM-010)'가 프랑스에서 임상 2상 시험계획을 승인받았다고 22일 밝혔다. 유럽에서 진행하는 2상은 독일, 프랑스, 스페인 등의 주요 유럽국가에서 진행할 예정으로 이달 내 나머지 국가의 임상시험 승인을 받을 계획이다. 회사측은 내년 초 본격적인 환자등록이 시작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LID는 파킨슨병 환자들에게 치료제인 레보도파를 장기 투여했을 때 환자의 약 60~70%에서 발생하는 운동장애로 일상생활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하는 질
2018년 노벨 화학상은 효소, 펩타이드 및 항체를 박테리오파아지 (bacteriophage, 이하 파아지라 함)의 표면에 발현시키는 기술 즉 파아지 디스플레이(phage display)에 수여되었다. 처음부터 기초연구보다는 응용연구를 염두에 둔 기술이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답은 파아지 디스플레이 기술의 산업적인 파급효과가 매우 크다는 점이다. 효소, 펩타이드 및 항체의 공통점은 단백질이다. 생물체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모든 기능을 담당하는 물질이 단백질이고, 단백질은 DNA로 구성된 유전물질의 산물이다.
툴젠은 호주 식물 생명공학 전문기업인 Nexgen Plants와 그린바이오 분야 유전자교정 작물 개발 및 사업협력을 위한 상호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미래 식량 및 에너지 개발을 위한 특수 형질교정 작물을 공동 개발하고 고부가가치 유전자교정 작물 개발 플랫폼 사업화를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툴젠은 최근 그린바이오 식물 분야에서 활발한 사업활동을 하고 있다. 지난해 세계 최대 농업기업인 미국 몬산토와 라이선스 딜을 체결했다. 올해는 이스라엘 애그테크(Ag-Tech) 기업인 Danzige
파킨슨병(PD)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이 탄생할 수 있을까? 동아ST가 미국 임상2상 단계인 파킨슨병 신약 후보물질 ‘DA-9805'의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파킨슨병의 다양한 병리기전을 타깃해 근원적 치료에 도전한다. 정진석 동아ST 수석연구원은 최근 열린 한국약물응용학회에서 'DA-9805 exerts a neuroprotective effect via amelloration of mitochondrial damage in experimental models of PD' 제목으로 DA-9805의 전임상 과정
스마트 재활 의료기기회사 네오펙트가 오는 11월 코스닥에 상장한다. 네오펙트는 상장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본격적인 공모절차에 돌입한다고 22일 밝혔다. 네오펙트는 지난 9월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한국거래소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했다. 네오펙트는 이번 상장을 위해 180만주를 공모한다. 공모예정가는 1만~1만2500원으로 총 공모금액은 밴드 하단기준 180억원이다. 11월12~13일 수요예측을 거쳐 공모가를 확정한 후 11월19~20일 청약을 받는다. 11월 내 코스닥 시장에 상장될 것으로 예상되며 대표주관사는 한국투
에이치엘비는 21일 자회사 LSK BioPharma(이하 LSKB/미국 솔트레이크시티)와 중국 상해 헝루이(Jiangsu Hengrui Medicine)가 진행성 간세포암 환자를 대상으로 신생혈관억제제와 면역관문억제제의 병용임상 효능 확인을 위한 글로벌 공동 임상협약을 맺었다고 22일 발표했다. LSKB의 VEGFR-2 억제제인 '리보세라닙(Rivoceranib)'과 헝루이 PD-1 항체 '캄렐리주맙(camrelizumab, SHR-1210)'의 병용임상 시험은 중국은 헝루이가, 이외 글로벌 지역에서는 LSKB와 헝루이가 임상
엔솔바이오사이언스가 제1형 당뇨병(Type 1 Diabetes) 신약 후보물질 ‘실로아 1000(S1K)'을 발굴했다. 회사측은 동물실험을 통해 S1K가 1형 당뇨의 원인인 베타세포의 파괴를 막는 것은 물론 인슐린 분비 증가와 혈당 감소를 확인했다. 엔솔바이오는 22일 "바이오빅데이터 신약발굴플랫폼인 KISDD 플랫폼으로 제1형 당뇨병을 치료할 펩타이드 신약후보물질 '실로아 1000(S1K-1, S1K-2, S1K-3)'을 탐색했으며 인비트로(in vitro), 인비보(in vivo) 실험을 통해 신약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국내 연구진이 IDO와 TDO를 동시에 억제하는 신약후보물질(CB548)의 초기 연구결과를 내놨다. 이 물질은 면역관문억제제와 병용시 반응률을 2배 이상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최근 글로벌 IDO 저해제 개발 열기가 차갑게 식은 상황이어서 이러한 연구들이 새로운 돌파구를 찾을지 주목된다. 분당차병원(김찬, 전홍재 교수팀)과 CMG제약 연구소는 20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 'ESMO 2018'에서 공동 연구중인 차세대 신약 후보물질 'CB548'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CB548은 다수의 종양 세
에자이(Eisai)와 일본 게이오 의과대학 연구진은 유도만능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s)에서 분화시킨 '도파민 신경세포'를 이용해 파킨슨병 치료에 잠재력이 있는 후보물질로 '베니디핀(Benidipine)'을 발견했다고 19일 발표했다. 베니디핀은 현재 고혈압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물질이다. 파킨슨병은 알츠하이머병 다음으로 흔한 신경 퇴행성 질환으로, 뇌의 흑질에 있는 도파민 신경세포가 점차 손실되어 발병한다. 파킨슨병 환자의 90%는 특발성이며, 환경이나 질환 메커니즘 같은 다양한
국내 연구진이 우리 몸의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유익균을 찾아냈다. 이 미생물은 면역조절 T세포의 분화 및 활성을 유도해 우리 몸의 과민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임신혁 포스텍 교수(기초과학연구원 면역 미생물 공생 연구단)는 프로바이오틱스 중 면역을 제어하는 균을 골라내는 시스템을 개발해 '비피더스 PRI1균'을 발견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이날 학술지 사이언스 이뮤놀로지(Science Immunology)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모유 수유를 한 어린 아이들이 아토피 피부염 등 면역 과민 질환에 덜 걸린
큐리언트는 19일 제3자배정 유상증자, 전환우선주 발행을 통해 각각 160억원, 240억원 등 총 400억원의 자금을 납입받았다고 이날 공시했다. 이번 자금조달에는 쿼드자산운용, 알펜루트자산운용, 더블유자산운용이 참여했다. 이번 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발행되는 신주는 오는 31일 교부되며, 오는 11월1일 상장될 예정이다. 신주는 1년간 보호예수된다. 이번 자금조달은 회사 운영 및 R&D 자금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됐다. 회사측은 현재 진행하고 있는 임상단계 후보물질과 내년 미국 임상돌입을 계획하고 있는 면역항암제의 임
3D 바이오프린팅 전문기업 티앤알바이오팹(T&R Biofab)이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시장 상장절차를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 티앤알바이오팹이 이번 상장을 통해 모집할 공모주식수는 총 120만주로, 주당 공모 희망가는 1만8000~2만3000원이다. 이번 공모를 통해 최대 약 276억원을 조달할 계획이다. 공모자금은 시설자금, 연구개발비, 운영자금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특히 기술 고도화 및 영업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글로벌 시장을 확대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내달 12~13일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해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 "결정"
박순재 알테오젠 "1개월 플랫폼 개발..2027년 비만임상"
BMS, 'PRMT5 저해제' 새 단서? "EGFR 폐암 ORR 57%"
큐로셀, 100억 규모 CB 발행 결정
보로노이, 'RIPK1 저해제' 美앤비아서 옵션행사 "양도"
이노퓨틱스, 'AAV' 파킨슨병 "국내 1상 IND 승인"
메이즈, ‘SLC6A19 저해제’ PKU 1상 "긍정적"..주가 급등
코스타시스, '비강투여' 부메타니드 이뇨제 "美 승인"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지아이이노, CD80-IL2+마이크로바이옴 "항노화 임상"
마티카바이오랩스, 사이알바이오와 CDMO 계약
앱클론, '네스페셀' 식약처 개발단계 희귀의약품 지정
삼성바이오로직스, 바이오프로세스 인터내셔널 "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