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근당이 개발한 당뇨병 신약 '듀비에(성분명: 로베글리타존)’가 당뇨환자의 혈당조절에 관여하는 췌장의 베타세포를 보호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종근당은 듀비에의 췌장 베타세포 보호효과에 대한 연구결과가 국제당뇨병협회 공식학술지 ‘당뇨연구와 임상진료(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에 게재됐다고 12일 밝혔다. 종근당과 부산백병원 박정현 교수가 함께한 공동연구팀은 듀비에의 췌장 베타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고혈당 상태의 췌장 세포주(INS-1)와 당뇨질환 쥐 모델에 각각 듀비에를 투여한
휴온스글로벌의 보툴리눔 톡신제제 ‘리즈톡스(LIZTOX)’가 국내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국내서 개발해 허가받은 4번째 보툴리눔 톡신의 탄생이다. 휴온스글로벌은 12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리즈톡스의 품목허가를 승인했다고 공시했다. 휴온스글로벌은 중등도 또는 중증의 미간주름 개선을 적응증으로 국내 대학병원 3곳에서 진행한 임상 3상 결과를 바탕으로 작년 11월 품목허가를 신청했다. 리즈톡스는 앞선 2016년 휴톡스라는 브랜드명으로 수출용의약품 허가를 받았다. 이번 국내 품목허가를 통해 국내외 시장을 동시에 공략할 수 있게 됐다. 휴온스글
국내 벤처캐피탈 컴퍼니케이파트너스가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를 통과했다.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11일 컴퍼니케이파트너스의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 청구를 승인했다고 밝혔다. 지난 1월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한지 약 3개월만에 코스닥 입성 자격을 획득했다. 컴퍼니케이파트너스는 2006년 설립된 벤처캐피탈로 금보개발이 지분 57%를 가진 최대주주다. 컴퍼니케이파트너스는 최근 바이오기업 투자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는데 안트로젠, 고바이오랩, 브릿지바이오, 안지오랩, 지피씨알, 바이오네틱스, 성운파마코피아, 토모큐브, 메디노, 소바젠, 나노젠 등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솔리리스(성분명 eculizumab) 바이오시밀러 개발을 위한 독일 임상 1상을 완료했다. 11일 미국 국립보건원의 임상정보사이트 클리니컬 트라이얼즈(clinicaltrials.gov)에 따르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달 말 솔리리스 바이오시밀러 SB12의 임상 1상을 종료했다. 작년 11월 독일에서 임상에 돌입한지 6개월여만이다. 이번 임상은 건강한 성인 240명을 대상으로 SB12(300mg, 싱글도즈)와 EU 솔리리스, 미국 솔리리스군으로 나눠 SB12의 약동학적 특성과 안전성, 내약성 및 면역원성을 탐색하는
국내 체외진단기업 수젠텍의 코스닥 시장 이전상장이 확정됐다.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11일 수젠텍의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청구를 승인했다고 밝혔다. 작년 12월 14일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한지 약 4개월만이다. 수젠텍은 2011년 손미진 대표가 에트리홀딩스의 연구소기업으로 창업한 체외진단기업으로 국내 최초로 디지털 임신·배란 테스트기 개발에 성공해 미국 FDA 승인, 유럽 CE 인증을 받았다. 현재 ▲종합병원 및 전문임상검진기관용 다중 면역진단(Immunoblot) ▲전문가용 현장진단(POCT) ▲자가진단(self-testi
중국의 바이오테크가 바이오산업의 혁신을 위해 외국계 기업과 협약을 맺는 일이 늘고 있다. 중국 상하이 미라코젠(Shanghai Miracogen)은 네덜란드 바이오테크 시나픽스(Synaffix)의 플랫폼 기술 이용에 대한 비독점권 계약을 10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시나픽스는 항체-약물 복합체(ADC) 플랫폼 기술인 ‘GlycoConnect’와 ‘HydraSpace’를 사용할 수 있는 비독점권을 미라코젠에 제공하고, 미라코젠은 임상 단계의 치료제 후보물질 개발에 이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 미라코젠은 계약금과 단계별 마
툴젠이 식물발현시스템을 이용한 바이오의약품 개발에 도전한다. 툴젠은 11일 엔비엠과 ‘식물발현시스템 및 유전자교정 기반 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생산 사업 협력’을 위한 상호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툴젠의 유전자교정 기술과 엔비엠의 식물발현시스템 등을 결합해 새로운 바이오의약품 개발에 도전하는 것이다. 양사는 이번 MOU 계약 체결을 기반으로 본격적인 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며 다양한 분야에서도 사업 협력을 구체화하기로 했다. 분자농업기술은 식물발현시스템을 이용해 고부가가치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하는 기술
Gemvax & Kael will begin to have phase 3 clinical trial started for ‘GV1001’, a treatment of Benign Prostate Hyperplasia, in Korea. Gemvax announced on the 5th that they received an approval from KFDA for ‘GV1001’ of the phase 3 clinical trial for Investigational New Drug (IND) in Korea. Thus, Gemva
“유전자 세포치료제인 CAR-T는 세포주은행 확립부터 제조공정마다 중요하게 확인해야 하는 항목들이 존재한다. 씨드모젠은 CAR-T 제조 프로토콜과 기술을 수립하는 과정부터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기준에 맞춰 준비했으며 최고의 전문가가 시험법을 검증했다.” 2017년은 유전자치료제 역사에 중요한 전환점으로 남았다. CAR-T(Chimeric antigen receptor T cell)치료제 ‘킴리아(Kymriah)’와 ‘예스카르타(Yescarta)’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연이어 허가를 획득하면서 새로운 유전자치료제의 막을 올린
On the first day of Genomictree’s listing on the KOSDAQ, the clinical results of its core product ‘EarlyTect-Colon Cancer’ were released. The results show positivity of more than 90 % for the detection of colorectal cancer by analyzing DNA in the stool. In August 2018, Genomictree's colorectal cance
셀트리온의 혈액암 치료 바이오시밀러 트룩시마가 캐나다에 진출한다. 셀트리온은 10일(현지시간) 캐나다 보건복지부(Health Canada)로부터 혈액암 치료용 항암 항체 바이오시밀러 ‘트룩시마(개발명:CT-P10, 제품명:Truxima)’의 판매 허가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캐나다 최초로 승인된 리툭시맙 바이오시밀러인 트룩시마는 비호지킨림프종(NHL), 만성림프구성백혈병(CLL) 및 류마티스 관절염(RA)을 포함한 적응증으로 판매 허가를 획득했다. 트룩시마의 오리지널의약품은 바이오젠(Biogen)이 개발하고 로슈(Roche)가 판매하
퇴행성뇌질환 신경면역 치료타깃으로, B세포 발현 단백질로 알려진 'CD22'가 지목됐다. 토니 와이스-코레이(Tony Wyss-Coray) 스탠포드대 의대 신경과 교수 연구팀은 CD22가 미세아교세포(microglia) 억제성 면역관문 분자로 작동하며, 약물로 억제할 경우 미세아교세포 대식작용이 늘어나고 인지 저하가 개선되는 결과를 발표했다. 종양미세환경에서 PD-1 항체로 억제됐던 T세포를 활성화해 암세포를 공격해 항암효과를 발휘하는 것과 유사하다. 연구결과는 지난 3일 네이처(Nature)에 게재됐다(doi: 10.1038/s
오는 2023년 전세계 바이오시밀러 시장이 500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전체 바이오의약품 시장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0%를 돌파할 것으로 예측됐다. 10일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가 '프로스트&설리반(Frost & Sullivan)'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세계 바이오시밀러 시장은 2017년 97억달러(약 11조원)에서 2023년 481억달러(약 54조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연평균 성장률은 무려 24.6%에 이른다. 같은 기간 전세계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2706억달러(약 306조원)에서 연평균
지플러스생명과학과 엔비엠이 식물기반 바이오의약품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에 나선다. 지플러스생명과학은 지난 9일 엔비엠과 ‘식물기반 단백질 생산에 대한 공동 연구개발 추진' 및 ‘식물기반 바이오 의약품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최성화 지플러스생명과학 대표, 권태호 엔비엠 대표 등 양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양사는 식물로부터 유용단백질을 생산해 분리정제를 하는 기술과 유전자가위 기술을 활용한 항체의약품 등과 같은 바이오 의약품 공동연구개발에 상호 협력하기로
SK바이오사이언스의 3가 독감백신 ‘스카이셀플루’가 WHO(세계보건기구) PQ(Pre-qualification, 사전적격성평가) 인증을 획득해 국제 입찰시장에 참여한다. 유정란이 아닌 동물세포를 배양해 생산된 세포배양 독감백신의 WHO PQ는 스카이셀플루가 최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스카이셀플루가 2017년 9월 WHO의 PQ인증 절차에 참여, 약 1년 반만에 최종 인증을 획득했다고 10일 밝혔다. WHO PQ는 엄격한 기준에 따라 백신의 제조과정, 품질, 임상시험 결과를 평가해 안전성 및 유효성을 인증하는 제도다. PQ 인증을
아이진이 이달 당뇨망막증 치료제 ‘EG-Mirotin'의 유럽 2a상의 환자모집을 종료하는 등 임상을 조기에 마무리한다. 아이진은 이번 임상에 대한 최종결과보고서가 나오는대로 미국 후속임상(2b상)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아이진은 오는 4월말로 EG-Mirotin의 유럽 2a 임상 투약 환자 모집을 종료한다고 10일 밝혔다. 아이진은 2014년 네덜란드에서 EG-Mirotin 1상을 완료한 뒤 프랑스와 헝가리에서 당뇨성 황반부종 환자에게 투약해 효능을 확인하는 2a 임상을 수행해 왔다. 아이진은 당초 2a상은 전체 환자 30명을 대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 "결정"
박순재 알테오젠 "1개월 플랫폼 개발..2027년 비만임상"
노바티스, 몬테로사와 "또 면역" 분자접착제 '57억弗 딜'
알테오젠, '아일리아 시밀러' 유럽 "시판허가 획득"
에이프릴, "전략변화" SAFA 개선 '차세대 플랫폼'은?
메이즈, ‘SLC6A19 저해제’ PKU 1상 "긍정적"..주가 급등
코스타시스, '비강투여' 부메타니드 이뇨제 "美 승인"
젠맙, '18억弗 인수' 프로파운드 PTK7 ADC "개발중단"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지아이이노, CD80-IL2+마이크로바이옴 "항노화 임상"
마티카바이오랩스, 사이알바이오와 CDMO 계약
앱클론, '네스페셀' 식약처 개발단계 희귀의약품 지정
삼성바이오로직스, 바이오프로세스 인터내셔널 "참가"
큐로셀, 100억 규모 CB 발행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