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스펙테이터 김성민 기자
뇌질환 신약개발 바이오텍 소바젠(Sovargen)은 이탈리아 제약사 안젤리니파마(Angelini Pharma)와 난치성 뇌전증 신약 후보물질 ‘SVG105’에 대한 공동연구 및 라이선스아웃(L/O) 계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안젤리니파마는 최근 2년동안 계속해서 뇌질환 에셋을 인수하면서, 중추신경계(CNS) 파이프라인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국내 큐어버스(Cureverse)와도 라이선스딜을 체결했으며, 혈뇌장벽(BBB) 투과기술을 가진 JCR 파마슈티컬(CR Pharmaceuticals), 옴니앱(OmniAb) 등과 딜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에 따라 안젤리니파마는 SVG105의 한국, 중국, 대만을 제외한 글로벌 개발 및 상업화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갖게 된다.
안젤리니파마는 소바젠에 반환의무가 없는 계약금과 개발, 상업화 마일스톤을 지급하게 되며, 총 계약규모는 5억5000만달러(7500억원)다. 제품 판매에 따른 로열티는 별도다. 계약금은 공개되지 않았다.
SVG105는 mTOR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를 타깃하는 안티센스올리고뉴클레오티드(ASO)로, 척수강내(IT) 투여하는 약물이다. 기존 뇌전증 치료제에 반응하지 않는 소아 난치성 뇌전증인 국소피질이형성증(focal cortical dysplasia, FCD)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다. SVG105는 발작 원인인 mTOR 유전자를 저해하는 표적치료 기전으로, 부작용은 낮추면서 높은 치료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소바젠은 현재 SVG105는 개발 후보물질 선정을 완료하고, 비임상 개발 단계에 진입했다. 오는 2027년부터 글로벌 임상시험에 돌입할 계획이다.
이번 계약에 따라 비임상 개발은 소바젠과 안젤리니가 공동으로 진행하며, 관련 비용은 안젤리니파마가 부담하게 된다. 추후 임상개발 및 상업화는 안젤리니파마가 진행한다.
박철원 소바젠 각자대표는 “이번 기술수출은 국내 기술로 개발된 맞춤형 신약이 수술외에는 치료옵션이 제한적인 난치성 뇌전증 질환에 대한 신약이라는 의미가 있다”며 “또한 의사출신 기초과학자가 창업한 바이오텍이 기술이전을 한 성공사례”라고 말했다.
자코포 안드레오세(Jacopo Andreose) 안젤리니파마 대표는 “소바젠과의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뇌 건강 분야에서 안젤리니 파마의 선도적인 역할을 더욱 공고해졌고, 연구개발 파이프라인의 폭을 넓혀준다”며 “뇌전증과 같은 신경계 질환은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문제다. 뇌전증 환자의 경우 여러 항경련제(anti-seizure medication) 의약품을 복용하더라도 질병이 잘 조절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소바젠은 올해 7월 시리즈B 브릿지 라운드로 에이티넘인베스트, 산업은행, 프리미어파트너스 등으로부터 230억원 규모의 투자유치를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