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이 내달 열리는 미국 혈액암학회(ASH)에서 앱토즈 바이오사이언스(Aptose Biosciences)에 4억2000만달러 규모에 라이선스아웃한 FLT3/SYK 저해제의 ‘first-in-human’ 임상 결과를 공개한다. 주요 내용으로 임상1/2상 중간 결과 효능 용량(80mg)을 투여한 AML 환자 26.3%에게서 완전관해(CR/CRi) 반응이 관찰됐다. 한미약품은 내달 13일 ASH 2021에서 FLT3 변이·야생형(WT)을 가진 재발성 또는 불응성 급성골수성백혈병(r/r AML)
부광약품은 11일 자회사 다이나세라퓨틱스의 전립선암 신약 ‘SOL-804’ 조성물의 미국 특허등록이 결정됐다고 밝혔다. 다이나세라퓨틱스는 부광약품이 지분 100%를 보유한 의약품 제형개발 전문 자회사다. SOL-804의 특허는 이번 미국을 포함해 일본, 유럽, 호주, 멕시코, 싱가포르 등 7개국에 등록됐다. 부광약품은 현재 브라질, 캐나다, 중국, 홍콩, 이스라엘, 인도, 한국, 뉴질랜드, 남아공 등에서 특허등록을 진행중이다. SOL-804는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에 대한 기존 치료제의 개량신약이다. 다이나세라퓨틱스는 SOL-
글로벌 체외진단 전문기업 에스디바이오센서(SDBiosensor)는 11일 생산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도 공장 증설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에스디바이오센서는 전날 이사회에서 인도 자회사 SD Biosensor Healthcare Pvt가 진행한 약 397억원 규모의 유상증자 참여를 결의했다. 에스디바이오센서는 인도 하리아나주에 위치한 공장을 1만4000평 부지면적으로 증설투자를 시작한다. 증설이 완료되면 생산량은 기존의 6.5배로 증가하고 원가경쟁력도 확보할 수 있다. 체외 진단 시장에서 인도는 가장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는
SK바이오팜(SK Biopharmaceuticals)은 11일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올해 3분기 매출 240억원, 영업손실 499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510.5% 증가했다. 이같은 매출증가는 회사가 개발한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제품명: 엑스코프리®/XCOPRI®)’의 미국 매출 성장세가 지속된 데 따른 것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세노바메이트의 3분기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6배 이상 증가한 199억원을 달성했다. 3분기 월평균 처방 건수는 8,397건으로, 전분기보다 23% 증가했다. 지난 10년간
GE는 지난 9일(현지시간) 회사를 항공(Aviation), 헬스케어(Healthcare), 에너지(Energy) 3개 부분으로 분사(spin off)한다고 밝혔다. 3개 회사는 각각 상장기업이 될 계획이며, 회사의 브랜드, 자본구조 등은 향후에 발표될 예정이다. 발표에 따르면 GE는 헬스케어 부문은 2023년 초, 나머지는 2024년에 분사한다. 분사 후 GE헬스케어에 대해 GE는 19.9%의 지분을 유지하며, 분사된 GE헬스케어는 정밀의료에 집중하는 회사(pure play)가 된다. GE는 GE헬스케어 분사와 함께 운영개선(o
SK바이오팜(SK Biopharmaceuticals)이 상해 소재 글로벌 투자사 ‘6 디멘션 캐피탈(6 Dimensions Capital, 6D)’과 중국 현지 중추신경계(CNS) 제약사 이그니스 테라퓨틱스(Ignis Therapeutics)를 설립했다고 11일 밝혔다. SK바이오팜은 이번 중국법인 설립으로 미국, 유럽, 일본, 중국 등 글로벌 탑 제약시장에 진출하게 된다. SK바이오팜은 미국·유럽에서 판매중인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를 포함 6개 CNS 신약 파이프라인의 중국 판권을 이그니스에 기술수출해 1억5000만달러 규모의
인공지능 및 양자화학 기반 신약개발 회사 파미노젠은 11일 장뇌축(Gut-Brain Axis)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치료제 신약후보물질에 대한 3건의 국내특허를 출원했다고 밝혔다. 파미노젠은 자사 인공지능 신약발굴 플랫폼 ‘루시넷(LucyNet)‘을 사용해 개발을 위해 ‘RIPK2’를 타깃으로 장뇌축 IBD 치료제 신약후보 물질을 발굴했다. 이번 파미노젠의 장뇌축 IBD 치료제 후보물질은 이해정 공동발명 저자 겸 가천대 교수, 유창범 순천향대 부천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연구팀 등
중국 자이랩(Zai Lab)이 블루프린트 메디슨(Blueprint Medicines)의 EGFR C797S 변이를 억제하는 4세대 EGFR TKI 2종의 중화권 권리를 계약금 2500만달러를 포함해 총 6억1500만달러 규모에 사들였다. 자이랩에 따르면 중국내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의 약 40~50%가 EGFR 변이를 가지며, 이는 미국보다 높은 빈도다. 자이랩은 최근 활발한 라이선스 딜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는 회사다. 자이랩은 아젠엑스(argenx), 마크로제닉스(MacroGenics), 터닝포인트(Turning Poin
지난 연재에서 언급한대로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로부터 2차 구조를 예측하는 문제는 197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발전이 이루어져 2000년대 중반에 이르러서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약 70-80% 의 정확도로 예측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2차 구조의 예측과는 달리 단백질이 어떤 3차원 구조를 하고 있는지를 예측하는 것은 그리 빠른 진보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첫번째 연재에서 소개한 안핀센의 연구에서 그는 자연계의 단백질이 가지는 3차원 구조는 열역학적으로 가장 안정된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단백질이 가질 수 있는 여러가지 3차원
모더나(Moderna)를 창립한 플래그십 파이오니어링(Flagship Pioneering)이 지난 9일(현지시간) tRNA 기술기반 바이오텍 ‘알트르나(Alltrna)’를 공개하며 공식적인 출범을 알렸다. 알트르나는 지난 2018년 플래그십 랩스(Flagship Labs)를 통해 창립된 회사로 변형 tRNA를 활용한 유전성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을 진행한다. 이번 공식 출범발표와 더불어 알트르나는 플래그십으로부터 5000만달러를 투자받았다. tRNA는 mRNA를 아미노산으로 번역(translation)하는 핵심분자로, mRNA의 코
항노화 신약 개발 바이오텍 하플사이언스(HaplnScience)가 최고의료책임자(CMO)로 윤장수 상무를 영입했다고 11일 밝혔다. 윤장수 CMO는 2009년 서울대 의과대학 졸업했으며, 2016년 임상약리학 인정의 자격을 취득했다. 이후 일본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과 한국 베링거인겔하임에서 임상 시험 프로젝트 리더로 근무하면서 다년간 임상연구 경험을 쌓았다. 윤장수 CMO는 하플사이언스에서 신약 후보물질의 임상개발을 이끌 예정이다. 하플사이언스는 내년 리드 프로젝트 골관절염 치료제 후보물질 'HS-
화이자(Pfizer)가 바이오헤븐(Biohaven)의 편두통 치료제 ‘누르텍(Nurtec ODT, Rimegepant)’의 미국외 지역 상업화 권리를 총 12억4000만달러에 사들였다. 계약금 규모만 5억달러에 달하는 과감한 베팅이다. 누르텍은 CGRPR(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receptor) 길항제로 전조증상 무관한 급성 편두통 치료와 일시적인 편두통 예방치료를 위한 경구용 약물로, 올해 3분기 매출은 약 1억3600만달러였다. 특히 누르텍은 시판 초기인 지난해 2분기 매출이 약 1000만달러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 전문기업 고바이오랩(KoBioLabs)이 면역항암제사업 본격화 등을 목적으로 총 445억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와 전환사채(CB) 발행을 결정했다고 10일 밝혔다. 고바이오랩은 이번 자금조달을 위해 전환우선주 153만7922주를 신규 발행하여 335억원을 확보했으며, 전환사채 110억원 발행으로 총 445억원을 확보하게 된다. 메리츠증권, IBK증권과 기존투자자인 컴퍼니케이파트너스, 에셋원자산운용이 주요 투자자로 참여한다. 전환우선주에 대해서는 1년간의 의무보유확약 기간을 부여한다. 고바이오랩 관계자는
툴젠은 10일 금융위원회에 코스닥 이전상장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툴젠의 총 공모주식수는 100만주 주당 공모 희망가 범위는 10만~12만원이다. 툴젠은 이달 25일과 26일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해 30일 최종 공모가를 확정하고, 12월 2~3일 일반 청약을 받는다. 이후 12월초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툴젠은 이번 공모를 통해 공모 희망가 기준 최대 약 1200억원을 조달한다. 상장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 툴젠은 공모한 자금을 CRISPR 특허경쟁력 확보 및 연구개발 관련 임상/설비투자,
셀트리온(Celltrion)은 10일 연결기준 경영실적 공시를 통해 올해 3분기 매출 4010억원, 영업이익 164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26.94%, 영업이익은 33.15% 감소한 수치다. 셀트리온은 테바(TEVA) 편두통 치료제 ‘아조비’ CMO 매출이 4분기로 이연된 점, 타 제품 대비 상대적으로 단가가 낮은 램시마의 매출 비중이 확대된 점 등이 전년동기 대비 매출 및 영업이익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영업이익률은 램시마의 미국시장 점유율 성장으로 인해 효율이 높은 국내 생산분 판매비중 증가
다중표적치료제 개발 전문기업인 원진바이오테크놀로지(Onegene Biotechnology)는 10일 NASH 4중치료제 후보물질 ‘OGB21502’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사업' 지원과제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국가신약개발사업 지원과제 선정으로 원진바이오테크놀로지는 향후 2년간 OGB21502의 후보물질 도출 및 GLP 독성시험 진입을 최종목표로 공정개발, 전임상 연구, GLP 독성시험 시료 생산에 필요한 연구비용을 지원받게 된다. OGB21502는 독자 개발한 플랫폼 기술인 UniSta
캡시다, ‘BBB투과 AAV’ 희귀뇌전증 환자사망 "임상중단"
에임드바이오 “빠른 타깃선정·밸리데이션, ADC 딜 관건”
레볼루션, 'pan-KRAS(ON)' 췌장암 1차 병용 "ORR 55%"
셀비온, ‘PSMA RPT’+키트루다 “국내 1상 IND 승인”
릴리, 'AI 약물발굴 플랫폼' 출시 "스타트업에 제공"
리제네론, '알러젠 항체' 고양이 알러지 3상 "1차 충족"
인터셉트, '오칼리바' PBC 적응증도 결국 "美 시판철회”
한국노바티스, ‘킴리아’ 출시 4년 “574건 제조성과 공개”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한미약품, 멕시코 실라네스와 당뇨약 공급계약
유한양행, 휴이노와 '메모큐' 판매계약 MOU
지아이이노, 'CD80-IL2' 노화 마커 2a상 "국내 IND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