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2GBIO, a Korean biotech with a proprietary drug delivery system (DDS) platform technology, announced today that Health Canada has approved the phase 1 clinical trial of ‘GB-5001’, a monthly injectable dementia treatment. The clinical study, which will be conducted in Toronto, Canada, is designed t
지난 8월 알츠하이머병에서 “처음으로 긍정적인 인지 결과를 발표한 타우 항체”라고 주장하면서 잇따른 실패속에서 희망의 불씨를 되살렸던 ‘세모리네맙(semorinemab)’의 세부 데이터가 공개되자, 다시금 회의론이 가중되고 있다. 앞서 약 3달전 로슈와 AC이뮨(AC Immune)은 경증(mild) 내지 중등도(moderate) 알츠하이머병 환자 204명 대상 임상2상에서 공동 1차 충족점으로 설정된 효능 지표(ADAS-Cog11)에서 인지저하를 43.6% 늦춘 결과를 발표했다(p타우 위기? 세네모리맙은 지금까지 알츠하이머병 대상
셀리드는 12일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AdCLD-CoV19-1’의 임상 2b/3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임상 2b상은 국내∙외 125명을 대상으로 이전 임상을 통해 설정된 최적용량(5.0×10^10 VP/dose)의 백신을 1회 투여 및 2회 투여방식으로 진행한다. 이후 각 투여군의 면역원성과 안전성을 비교해 임상3상 시험에 적합한 투여용법을 결정할 계획이다. 셀리드 관계자는 “AdCLD-CoV19-1은 1회 투여용법으로 사용했고 기존 임상시험 중간분석 결과 1회 투여로도 면역반응을 유
로슈(Roche)가 자회사 제넨텍(Genentech)의 염증성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파이프라인에 새로운 마이크로바이옴 약물을 추가한다. 제넨텍은 지난 2018년에도 염증성장질환 파이프라인 개발을 위해 메타지놈 플랫폼을 가진 마이크로바이오티카(Microbiotica)와 마이크로바이옴 바이오마커, 표적, 치료제 발굴 및 개발 파트너십을 맺었다. 마이크로바이오티카의 플랫폼은 마이크로바이옴 컬렉션과 관련 유전자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됐다. 노봄 바이오테크놀로지(Novome Biotechnologie
삼성바이오에피스는 12일 3분기 해외제품 매출이 3억4280만달러로 전년대비 11.7% 증가했다고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마케팅 파트너사인 바이오젠(Biogene)의 제품매출은 2억280만달러, 오가논(organon)은 1억4000만달러로 총 3억4280만달러를 기록했다. 전년동기 3억690만달러 대비 11.7% 증가했다. 올해 3분기 누적 기준으로는 한국을 제외한 글로벌 시장에서 9억1620만달러(약 1조800억원)를 기록했다. 전년동기 대비 11%증가한 규모다. 특히 항암제 매출이 3분기 누적 1억100만달러로 전
바이오마커기반 혁신신약 개발기업 메드팩토(MedPACTO)는 11일 면역항암학회 학술대회(SITC 2021)에서 바이오마커 관련 연구성과 2건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현재 메드팩토는 현미부수체 안정형(MSS)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백토서팁’과 ‘키트루다’ 병용요법 임상1b/2a상(NCT03724851)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SITC에서 발표한 내용은 현재 임상중인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진행한 결과다. 먼저 메드팩토는 CD8A 유전자의 고발현 대장암 환자군의 전체생존기간 중앙값(mOS)이 저발현 환자군과 비교해
유전체분석전문기업 지니너스가 12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기반 액체생검 의료기기 ‘LiquidSCAN-Lung’의 체외진단의료기기(IVD) 품목허가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LiquidSCAN-Lung는 폐암 동반진단 목적의 의료기기로, 지니너스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NGS 분자바코드 기술이 적용되어 혈액에 존재하는 극미량의 암세포 DNA만으로 동반진단이 가능하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또한 지니너스는 올해 1월부터 폐암환자들을 대상으로 LiquidSCAN-Lung에 대한 임상시험을 진행했으며, 유전자 변이에 대해
‘NaV1.7(voltage-gated sodium(Na+) channel 1.7)’은 뉴런에서 뇌로 통증 전류신호를 전달하는 주요 이온채널로, 급성 및 만성통증 질환의 표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개발되고 있는 NaV1.7 저해제는 선택성(selectivity)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어 치료제 개발에 난항을 겪고있다. NaV1.7 등 소듐채널 하위타입 단백질끼리는 서열과 구조가 비슷해 NaV1.7 단일만 선택적으로 타깃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라제쉬 칸나(Rajesh Khanna) 애리조나
영국 컴패스 패스웨이(COMPASS Pathways)는 지난 9일(현지시간) 합성 실로시빈(psilocybin) 치료제 후보물질 ‘COMP360’의 약물저항성 우울증(TRD) 임상2b상 탑라인 분석에서 MADRS 점수가 유의미하게 개선된 긍정적 결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약물저항성 우울증이란 2가지 이상의 항우울제 치료 후에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실로시빈은 일부 버섯에서 발견되는 환각제 성분이며, 컴패스의 실로시빈 요법(psilocybin therapy)은 환자에게 실로시빈 투여와 심리적 치료를 동시에 시행하는
보로노이(Voronoi)는 자체 과제와 자회사 비투에스바이오(B2SBio)의 MPS1 저해 표적치료제, HER2 양성 유방암 치료물질이 ‘2021 국가신약개발사업’의 비임상연구와 후보물질 발굴 과제에 최근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보로노이와 비투에스바이오는 이번 사업 선정에 따라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으로부터 향후 3년간 연구비를 지원받게 된다. 보로노이가 발굴한 MPS1 저해제 'VRN08'은 세포주기(Cell Cycle) 조절인자인 MPS1 인산화효소(Kinase)를 억제하면 암세포 성장 과정에서 체세포분열 결함을 유도
데일리파트너스는 12일 다음과 같이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PE투자총괄 이은석 ▲벤처투자총괄 권인호 ▲PE투자본부장 정한호 ▲벤처투자본부장/액셀러레이팅본부장 김용철
셀트리온은 12일 코로나19 항체치료제 ‘렉키로나(CT-P59, Regdanvimab)’가 유럽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로부터 승인권고 의견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에 따르면 CHMP가 코로나19 항체치료제에 대해 승인권고 의견을 낸 건 이번이 처음으로, 렉키로나도 승인권고 대상에 포함됐다. 렉키로나의 적응증 대상은 코로나19가 확진된 성인(만 18세 이상) 환자로 보조적인 산소 공급이 필요하지 않고 중증으로 이환 가능성이 높은 환자로, 국내 품목허가와 동일하게 정맥투여 60분으로 CHMP 승인권고
독일 이마틱스(Immatics Biotechnologies)가 고형암을 대상으로 진행한 TCR-T 세포치료제 임상 1a상에서 전체반응률(ORR) 50~62%로 긍정적인 결과를 내놨다. 이전에 4번(중앙값) 이상 치료받았음에도 질병이 진행되어 치료옵션이 제한적인 환자들에게서 얻은 결과다. 단, 부분반응(PR)과 안정상태(SD)를 보인 환자 대부분이 수주 후에 질병이 진행되는 결과를 보여 약물 반응지속성에 한계를 보였다. 이마틱스는 아직 최고용량 투여군 임상이 진행 중으로 약물반응 지속성에 대해 결론짓기는 이르다는 입장이다. 이마틱스
아이맵(I-Mab)이 중국 점프캔 파마슈티칼(Jumpcan Pharmaceutical)과 지속형 성장호르몬제제 'GX-H9(eftansomatropin alfa)'에 대한 중국지역 상업화 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GX-H9은 재조합 성장호르몬(rhGH)에 반감기를 늘리는 hyFc 기술을 적용한 약물이며, 주 1회 또는 2주 1회 투여하는 용도로 개발하는 지속형 성장호르몬이다. GX-H9은 제넥신이 지난 2015년 아이맵에 중국 권리를 라이선스아웃한 약물로, 아이맵은 중국 임상3상을 진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제넥신과 한독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이 11월 10일부터 14일까지(현지시간) 진행되는 미국 면역항암학회(SITC 2021)에 참가해 자사의 AI 바이오마커 플랫폼 ‘루닛 스코프 IO’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결과 3건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 플랫폼은 행사 내 전시 부스에서도 시연된다. 올해 미국 워싱턴 D.C.에서 개최되는 SITC는 면역항암 분야에서 가장 큰 학회이다. 루닛은 효과적인 암 치료를 위해 면역항암제 치료 반응을 예측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개발히고 있다. 자체 기술로 개발된 AI 바이오마커 플
CRISPR 시스템의 선구자 펑 장(Feng Zhang)이 공동설립한 아버 바이오테크놀러지(Arbor Biotechnoogies)가 지난 9일(현지시간) 시리즈B로 2억1500만달러규모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라운드는 테마섹(Temasek), 앨리 브릿지 그룹(Ally Bridge Group), TCG 크로스오버(TCG Crossover)가 공동으로 리드했으며 에로우마크(Arrowmark Partners), 딥트랙(Deeptrack capital), 일루미나(Illumina Ventures) 등이 신규 투자자로, 아
캡시다, ‘BBB투과 AAV’ 희귀뇌전증 환자사망 "임상중단"
에임드바이오 “빠른 타깃선정·밸리데이션, ADC 딜 관건”
레볼루션, 'pan-KRAS(ON)' 췌장암 1차 병용 "ORR 55%"
셀비온, ‘PSMA RPT’+키트루다 “국내 1상 IND 승인”
릴리, 'AI 약물발굴 플랫폼' 출시 "스타트업에 제공"
리제네론, '알러젠 항체' 고양이 알러지 3상 "1차 충족"
인터셉트, '오칼리바' PBC 적응증도 결국 "美 시판철회”
한국노바티스, ‘킴리아’ 출시 4년 “574건 제조성과 공개”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한미약품, 멕시코 실라네스와 당뇨약 공급계약
유한양행, 휴이노와 '메모큐' 판매계약 MOU
지아이이노, 'CD80-IL2' 노화 마커 2a상 "국내 IND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