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로나19 팬데믹을 종식시킬 가능성이 있는 치료제와 백신 등 관련 기업에 대한 과도한 기대로 형성된 “팬데믹 버블(pandemic bubble)”이 꺼져가고 있는 가운데 2022년 새해를 맞아 업계가 주목해야할 키워드는 뭘까? 바이오스펙테이터는 2022년 관전포인트 5가지 키워드 중 [2022 바이오제약 관전포인트①] 편에서 코로나19 이후 mRNA 분야의 전망, 저가 PD-(L)1 항체 치료제의 출현과 차세대 면역항암제 동향 등 두가지 이슈를 먼저 다뤘다. 이어 이번 두번째 편에서는 남은 3가지 이슈에 대해 살펴봤다. 관전포인트
미국 오큐젠(Ocugen)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협력사 인도 바라트 바이오텍(Bharat Biotech)이 소아를 대상으로 진행한 코로나19 예방백신 ‘코백신(COVAXIN™, BBV152)’ 임상 2/3상 결과를 ‘medRXiv’에 게재했다고 발표했다(doi: 10.1101/2021.12.28.21268468). medRXiv는 의학, 임상 등의 연구결과를 전문가들의 평가(peer-review)가 수행되기 전 사전 공개하는 사이트다. 오큐젠은 이번에 발표한 소아 대상 임상 2/3상 결과에 기반해 지난해 11월 미국 식품의약
글로벌 체외진단 전문기업 에스디바이오센서는 3일 캐나다 소재 기업과 1387억원 규모의 코로나19 항원 신속진단키트 ‘STANDARD Q COVID-19 Ag Nasal with Control’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계약 기간은 2022년 1월 2일부터 2월 28일까지로 이번에 체결한 공급계약 금액은 최근 매출액 1조6861억원 대비 8.23% 규모다.
덴마크 레오파마(Leo Pharma)의 IL-13 항체 ‘애드브리(Adbry™, tralokinumab)’가 미국에서 아토피피부염 치료제로 승인됐다. 현재 IL-13만을 특이적으로 타깃하는 항체로 미국에서 승인된 아토피피부염 치료제는 애드브리가 유일하다 레오파마는 지난달 28일(현지시간)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애드브리를 아토피피부염 치료제로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애드브리는 18세 이상의 중등도~중증의 아토피피부염 환자를 대상으로 사용이 허가됐다. 세부적으로, 국소치료(topical prescription the
셀트리온은 3일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 대응을 위해 개발해 온 코로나19 항체 후보물질 ‘CT-P63’의 글로벌 임상 1상에서 안전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지난해 9월부터 건강한 피험자 24명을 대상으로 폴란드에서 CT-P63에 대한 임상 1상(NCT05017168)을 진행해 왔다. 그 결과 CT-P63 투여군에서 약물 투여로 인한 이상사례가 발생하지 않아 안전성과 내약성, 약동학(PK)을 입증했다는 설명이다. 또 셀트리온은 미국 국립보건원(NIH)을 통해 CT-P63의 슈도 바이러스 중화능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CT
수트로 바이오파마(Sutro Biopharma)가 지난달 27일(현지시간) 중국 타슬리 바이오파마슈티컬(Tasly Biopharmaceuticals)과 ‘FRα(Folate Receptor Alpha)’ 타깃 항체-약물 접합체(ADC) 신약 ’STRO-002’의 중화권 내 개발 및 상업화를 위한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수트로는 타슬리로부터 4000만달러의 계약금과 개발, 상업화 마일스톤으로 최대 3억4500만달러의 금액을 지급받게 된다. 또한 향후 시판제품의 연간 중화권 매출에 따라 수트로는 타슬리로
대웅제약은 3일 오전 온라인으로 신년 시무식을 열고 전 임직원들이 함께 2022년 임인년 새해를 출발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밝혔다. 올해 시무식은 코로나19로 인한 정부의 방역 지침에 맞춰 비대면으로 진행되었다. 전승호 대웅제약 대표는 신년사를 통해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 환경 속에서 대웅제약의 글로벌 2025 비전 달성과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위해 회사의 혁신 동력 결집이 필요한 때”라고 당부했다. 전 대표는 대웅제약의 2022년 경영방침으로 △고객 가치 향상 △변화를 주도하는 인재 육성 △오픈 콜라보레
허은철 GC녹십자 대표는 3일 임인년(壬寅年) 새해를 맞아 2022년 신년사를 통해 “전세계가 속도를 줄이고 방향을 재설정하고 있는 지금이 바로 사고를 확장하고, 사람을 준비시키고, 시스템을 정비하고, 과정을 투명하게 할 최고의 적기”라며 “더 급진적인 변화를 시도할 때”라고 말했다. 허 대표는 이를 위해 ‘목적과 방향이 올바르다면 본질 이외의 것은 모두 바꾸며 변화를 시도할 것’, ‘미래의 요청에 즉각 답할 수 있도록 더 확실한 실력을 갖출 것’, ‘실력을 연마하듯 모든 분야에서 더 높은 도덕적 기준을 적용할 것’을 강조했다.
한미약품은 3일 2022년 경영 슬로건으로 ‘제약강국을 위한 지속가능 혁신경영’을 선포하며 임인년 새해 첫 업무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시무식은 코로나19 방역 지침에 따라 온라인으로 진행됐으며 국내사업부 케이스 스터디를 시작으로 전 그룹사 새해 업무를 시작했다. 우종수∙권세창 한미약품 대표는 신년 CEO 메시지를 통해 “탄탄한 내실성장을 토대로 글로벌 혁신신약 개발을 위한 R&D에 더욱 매진하자”며 “확고한 준법과 윤리경영을 통해 업계의 모범이 되고 실속있는 성장을 통해 ‘지속가능’을 이루며 이 ‘지속가능’을 통해 ‘혁신경영’을
유한양행은 3일 새해 시무식을 갖고 2022년 경영지표를 ‘열정, 도전, 창조’로 정하고 지속적인 변화와 혁신을 통해 차별화된 신약의 개발과 신규사업의 확대를 도모하여 기업 가치를 높이고, 위대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는 토대를 굳건히 한다는 방침이다. 조욱제 유한양행 사장은 신년사를 통해 “작년 한해 팬더믹 상황에서도 혁신신약 개발, 신규사업 강화, 전략적 투자와 더불어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글로벌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힘찬 도전을 계속해왔다”고 2021년 경영성과를 설명했다. 또 "『One team, One
유한양행은 올해 1월 1일자로 2022년 새해 임원승진 인사를 다음과 같이 단행했다고 3일 밝혔다. ▲특목사업부장 정동균 전무 ▲감사실장 이병철 상무 ▲기획재정부문장 김재용 상무 ▲대외협력실장 공병준 상무 ▲바이오신약 부문장 김준환 상무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Legochem Bioscience)와 에이비엘바이오(ABL Bio)가 공동개발해 2년전 라이선스아웃한 ROR1 항체-약물 접합체(ADC)이 임상개발 단계로 들어간다. 두 회사는 지난 2020년 중국 시스톤 파마슈티컬(CStone Pharmaceuticals)에 ROR1 ADC를 라이선스아웃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best-in-class’ 약물로 포지셔닝하고 있다. 시스톤 파마슈티컬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ROR1 ADC ‘CS5001’의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승인받았다고 3일 밝혔다. CS5
진매트릭스는 3일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GM-ChimAd-CV’ 비임상 연구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신약개발사업 비임상 지원사업 과제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정부과제 선정에 따라 진매트릭스는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GM-ChimAd-CV의 독성과 안전성, 임상 용량 범위를 평가할 계획이다. 진매트릭스에 따르면 GM-ChimAd-CV은 야생형, 베타 및 델타 변이형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중화항체 유도를 확인했고, 국제백신연구소(IVI)에서 야생형 및 델타 변이형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종근당은 3일 신년사를 통해 2022년 경영방침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무식은 사회적 거리두기에 동참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생략됐다. 이장한 종근당 회장은 신년사를 통해 “올해는 새로운 비전 ‘CKD, Creative K-healthcare DNA’를 실현하여 인류가 질병에서 자유로워지도록 신약개발의 사명을 지속해 나가야 할 것”이라며 “초연결, 초지능, 초융합의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신약 연구로 패러다임을 전환하여 세상에 없던 신약(First-in-Class)과 미충족 수요(Unm
오스템임플란트는 3일 1880억원 규모의 횡령∙배임 혐의가 발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자기자본 약 2047억원 대비 91.81%에 달하는 규모다. 오스템임플란트의 주식 매매는 이날 오전 정지됐다. 공시에 따르면 이번 사건은 이모씨 단독으로 진행한 횡령사건으로, 회사측은 지난달 31일 서울 강서경찰서에 고소장을 제출한 상태다.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횡령·배임 혐의 발생과 관련해 오스템임플란트에 대해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사유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여부를 결정할 때까지 오스템임플란트의 주권매매 거래를 중단
지놈앤컴퍼니는 3일 미국 자회사 리스트 바이오테라퓨틱스(List Biotherapeutics)의 CDMO사업을 본격화하기 위해 3100만 달러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리즈 A는 한국투자파트너스, 한국투자증권, DSC인베스트먼트, 하나벤처스, 대원제약을 포함한 8개 주요 투자자가 참여해 총 3100만달러를 유치했다. 지놈앤컴퍼니측은 유치한 투자금을 미국 피셔스(Fishers)시에 위치한 자회사 마이크로바이옴 신공장 설립자금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리스트 바이오는 이번 2022년 1분기 내에 추가 투자유치를
에임드바이오 “빠른 타깃선정·밸리데이션, ADC 딜 관건”
레볼루션, 'pan-KRAS(ON)' 췌장암 1차 병용 "ORR 55%"
릴리, 'AI 약물발굴 플랫폼' 출시 "스타트업에 제공"
셀비온, ‘PSMA RPT’+키트루다 “국내 1상 IND 승인”
SMC 임상의 6人 'ADC 현장'서 본 "4가지 인사이트"
한국노바티스, ‘킴리아’ 출시 4년 “574건 제조성과 공개”
캡시다, ‘BBB투과 AAV’ 희귀뇌전증 환자사망 "임상중단"
레볼루션, pan-KRAS(ON) 췌장암 1차 병용 "ORR 55%"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한미약품, 멕시코 실라네스와 당뇨약 공급계약
유한양행, 휴이노와 '메모큐' 판매계약 MOU
지아이이노, 'CD80-IL2' 노화 마커 2a상 "국내 IND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