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이자(Pfizer)는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실험 약물 PCSK9 억제제(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 Kexin type 9 inhibitor) 보코시주맙(bococizumab)의 글로벌 임상 프로그램 SPIRE-1과 SPIRE-2를 중단한다고 1일 밝혔다. 보코시주맙의 임상결과 데이터와 시장상황을 검토한 결과 이 약물이 “환자, 의사 및 주주들에게 가치를 제공할 가능성이 낮다”고 보여 개발을 중단하게 됐다고 화이자는 전했다. 6건의 보코시주맙 지질 저하 임상결과 데이터에 따르면 보코시주맙은 시
"전세계에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할 수 있는 곳은 6~7개 국가에 불과합니다. 대한민국 역시 그중 하나로 나머지 국가들은 고가의 다국적 제약사 의약품을 전량 수입하는 현실입니다. 바이오큐어팜은 이들 국가에 기술이전을 통해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을 만들어 환자들에게 저렴하게 의약품을 공급할 것입니다." 이상목 바이오큐어팜 대표는 최근 대전 유성구 관평동 본사에서 진행된 바이오스펙테이터와의 인터뷰에서 이 같은 포부를 밝혔다. '전세계 곳곳에 바이오의약품 공장을 짓겠다'는 비즈니스모델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겠
안트로젠은 미국 식품의약품국(FDA)로부터 당뇨족부궤양치료제(ALLO-ASC-DFU)의 임상1상/2a 시험계획을 승인받았다고 3일 공시했다. 이번 임상시험에서는 당뇨족부궤양 환자를 대상으로 이 제품의 안전성을 평가한다. 회사에 따르면 ALLO-ASC-DFU는 지방유래줄기세포를 3차원 배양한 시트 제형으로서 국내에서 당뇨족부궤양 2상 임상 시험을 진행중이다. 미국에 지난해 2월 임상시험 승인을 신청했고 보완 사항에 대해 검토를 거쳐 FDA 승인을 받았다. 안트로젠 측은 "이 제품은 국내에서 생산한 줄기세포 치료제 중 최초이자 유
대웅제약이 태국 등 동남아시아 4개국에 고지혈증치료제 '대웅피타바스타틴 칼슘정'을 공급한다. 대웅제약은 2일 다국적제약사 애보트와 대웅피타바스타틴 칼슘정에 대한 총 728억원 규모의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계약에 따라 애보트는 태국, 베트남, 필리핀, 미얀마 4개국을 대상으로 2026년까지 10년간 대웅제약의 현지 판매를 대행한다. 대웅제약은 애보트로부터 17억원(152만5000달러)을 계약금으로 연내에 우선 받고, 완제의약품을 공급한다. 특히 현지에서 고지혈증치료제 판매수량이 1억 정을 넘을 때마다 대웅제약은 약
한국거래소가 기술특례 등 상장제도 개선을 통해 유망 바이오기업의 상장을 적극 장려하겠다고 밝혔다. 업계 일각에서 제기되는 상장 속도조절설에 대해서는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했다. 김재준 한국거래소 위원장은 2일 한국바이오협회 판교사옥에서 열린 바이오기업과의 간담회에서 "현재 적극적인 상장정책을 가져가고 있다"면서 "앞으로 기업들의 의견을 제도 개선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기술특례 상장 초기 10년 동안 상장기업은 15개에 불과했지만 2015년 12개, 올해는 현재까지 상장청구 기업만 20곳이 넘는다"며
녹십자가 국내 최초로 성인용 디프테리아ㆍ파상풍 예방 백신을 허가받았다. 2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내 기술로 처음 개발된 성인용 디프테리아‧파상풍 예방 백신(성인용 Td 백신) ‘녹십자 티디백신프리필드시린지주’를 허가했다고 밝혔다. 디프테리아는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아(호기성 그람 양성 간균)에 감염에 의한 급성 독소 매개성 호흡기 감염병으로 인체 모든 부위의 점막에서 침범 가능하며, 가장 흔한 부위는 인후와 편도부위다. 파상풍은 클로스트리디움 테타니(혐기성 그람양성 세균)가 생산하는 독소에 의해 급성질환, 골격근의 경직, 근육
올리패스가 정부의 지원을 받아 주력 파이프라인인 비마약성 진통신약 개발에 속도를 낼 수 있게됐다. 올리패스는 최근 자체 기술플랫폼인 ‘올리패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Pass Oligonucleotide)’를 기반으로 한 비마약성 진통신약이 (재)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KDDF) 사업 과제로 선정되었다고 2일 밝혔다. 회사는 이번 과제선정을 통해 글로벌 비임상 안전성 평가 및 임상 1상 승인을 위한 유럽 GMP생산 인증을 진행할 예정이다. 올리패스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기존 RNA 치료제가 가장 큰 한계점인 세포투과성을 획기적으로 개
우리는 자식 세대에게 나와 닮은 눈, 코, 입 뿐 아니라 보이지 않는 질병의 위험인자까지 전해줄 수 있다. 부모의 유전자가 자손에게 전달되기 때문으로 세포 핵 속에 있는 염색체 구성 성분인 DNA가 그 역할을 한다. 세포 안에서 긴 사슬 형태의 두 가닥이 서로 결합해 꼬인 나선 형태로 존재하는 DNA에는 우리 몸을 구성하는 단백질을 만드는 정보가 들어 있다. 이 때문에 DNA는 유전 질환의 치료에 근원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으로 주목받았고 실제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됐다. 하지만 진단 혹은 치료 목적으로 DNA에 특정 물질을 인위적으로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은 국내 바이오기업 앱클론의 '위암 HER2 표적 항체 신약 개발' 연구가 최근 중국 헨리우스 바이오텍(Shanghai Henlius Biotech Inc.)에 기술이전 됐다고 2일 밝혔다. 이번에 기술이전 된 앱클론의 항체신약 후보물질은(AC101)는 위암과 유방암 질환 단백질인 HER2를 표적하는 것으로 앱클론의 자체 항체신약개발 플랫폼인 NEST(Novel Epitope Screening Technology)를 통해 개발됐다. 이번 연구는 지난 2014년 11월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 과제로 선정돼 1년 6개
종근당이 올해 3분기만에 연 매출 신기록을 세웠다. 자체개발신약과 개량신약, 복제약(제네릭), 도입신약 등이 조화를 이루며 매출 기록을 조기에 갈아치웠다. 주력제품의 활발한 세대교체로 안정적인 성장동력을 확보했다는 평가다. 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종근당은 올해 3분기 누계 매출 6123억원을 기록, 전년동기대비 40.1% 늘었다. 영업이익은 411억원으로 전년보다 27.7% 증가했다. 3분기 누계 매출 6123억원은 지난해 1년 동안 기록한 5925억원을 훌쩍 뛰어넘은 수치다. 지난 1941년 설립 이후 연 매출 신기록을 3
JW중외제약은 미국과 한국에서 진행된 표적항암제 신약 후보물질 'CWP291'의 임상 1상시험에서 주요 효능과 안전성을 확인하는 내용의 결과보고서를 수취했다고 1일 공시했다. 지난 2011년 4년 미국 식품의약품국(FDA)으로부터 임상1a시험 계획 승인을 받은 이후 5년여만에 만에 최종 결과보고서를 받았다. JW중외제약은 CWP291과 기존치료제를 병용해서 환자에 투여하는 후기 임상1상(1b)시험을 추진한다. CWP291은 세계 최초로 ‘Wnt’라는 신호전달경로를 차단, 암 재발과 전이의 원인인 암줄기세포를 사멸시켜 근원적으
한국유나이티드제약은 지난 3분기 영업이익이 64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62.3% 늘었다고 1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447억원으로 전년보다 11.9%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44억원으로 10.8% 감소했다.
코오롱생명과학은 일본 미쓰비시다나베제약과 퇴행성관절염 세포유전자치료제 ‘인보사'의 기술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계약금은 25억엔(약 273억원)이며 인보사의 일본내 개발, 허가, 상업화에 따른 단계별 기술수출료는 432억엔(약 4716억원)이다. 인보사가 일본에서 상업화 단계에 도달하면 약 5000억원을 받는 조건인 셈이다. 일본내 제품 출시 후에는 10% 이상의 판매 로열티도 별도로 받는다. 미쓰비시다나베제약은 인보사의 일본 시장에 대한 독점적 개발 및 판매 권리를 갖고 일본 임상시험 및 품목허가를 진행하며 코오
동아제약은 소화제 '베나치오'가 올해 판매량 1000만병(10월31일 기준)을 넘어섰다고 1일 밝혔다. 지난 2009년 발매 이후 첫 1000만병 돌파다. 베나치오는 위 운동을 촉진해 과식, 체함, 구역, 구토 등 소화불량 증상을 개선해 주는 액상 소화제다. 지난 2009년 많은 용량을 한번에 먹기 힘든 여성과 노인층을 위해 20ml를 처음 출시했으며, 2012년 75ml를 추가 발매했다. 현재까지 누적 판매량은 3500만병이다. IMS데이터에 따르면 액상 소화제 시장은 2015년 기준 450억 원이다. 베나치오는 2009년
한화제약은 경기 성남시 소재 차바이오컴플렉스에서 차의과학대 스포츠의학대학원과 동반성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한화제약과 차의대 스포츠의학대학원은 산학협력 체제를 구축해 연구, 개발, 학술교류 사업 등 전반적인 사항에 대해 협력관계를 도모키로 했다. 한화제약은 차의대의 우수한 연구인력과 장비를 활용해 신제품 개발과 기술 제휴 등 다양한 협력체계를 확립할 수 있게 됐다. 홍정기 스포츠의학대학원장은 “운동 중에 섭취하는 스포츠 뉴트리션은 뛰어난 기능성은 물론, 엄격한 품질관리가 필요하다”면서 “오랜 기간 관련
사노피(Sanofi)와 리제네론(Regeneron)이 공동 개발한 류마티스성 관절염 치료제 '사릴루맙'(sarilumab)이 특정 제조문제로 인해 미국 FDA로부터 승인이 거부됐다. 사릴루맙이 채워지고 완성되는 제조 공정의 마지막 단계인 사노피 르 트레이트 시설(Sanofi Le Trait facility)에 대한 GMP 심사 중 특정 결함이 발견됐고, FDA가 이를 포함한 검토완료공문(Complete Response Letter, CRL)을 보내왔다고 사노피는 28일 밝혔다 사릴루맙은 활성화된 중증도에서 중증의 류마티스성 관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 "결정"
박순재 알테오젠 "1개월 플랫폼 개발..2027년 비만임상"
에임드바이오, 코스닥 상장예심 통과.."연내상장"
알지노믹스,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 "통과"
머크, ‘키트루다 SC' 유럽 허가 “CHMP 긍정의견”
화이자-아비나스, '무색해진' 최초 PROTAC "매각 결론"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유한양행, 오송 신공장 기공..'글로벌 수준' 제조라인 구축
종근당, '자율형 공장 구축사업' 발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