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근 유전자 가위 'CRISPR-Cas9' 미국 특허 분쟁에 승리한 브로드 연구소(Broad Institute of MIT and Havard)가 차세대 유전자가위 'CRISPR-Cpf1'의 유럽 특허를 확보했다. 브로드연구소는 27일(현지시간) "유럽특허청(EPO)이 2015년 6월 출원한 CRISPR-Cpf1의 특허를 부여했다"고 밝혔다. CRISPR-Cpf1은 CRISPR-Cas9보다 더 간단하고 정확한 유전자가위로 주목받고 있다. 브로드연구소의 장 펑(Feng Zhang) 연구팀이 2015년 9월 Cell에 발표한 논문을
코넥스 상장기업 지노믹트리가 소변으로 방광암을 진단하는 키트 상용화를 위한 국내 임상에 돌입한다. 지노믹트리는 지난 27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방광암 진단용 3등급 의료기기인 'EarlyTect Bladder Cancer'의 확증임상시험을 승인받았다고 28일 밝혔다. 지노믹트리는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변화할 때 유전자 조절부위에서 일어나는 '비정상적 DNA 메틸화'라는 후성유전학적 변화를 주목, 각종 진단키트를 개발하는 국내 바이오텍이다. 이번에 임상에 들어가는 방광암 진단키트는 혈뇨환자의 소변세포 DNA에서 PENK 유전자의 메
ODT(Orally Disintegrated Tablet)는 우리말로 ‘구강붕해정’이다. 말 그대로 입에서 침에 녹아 약효를 발휘하는 정제이다. ODT는 기존 경구용 제제를 삼켜 복용하는 것이 어려운 사람들의 복약순응도를 높이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하여 개발되었다. 이들은 연하운동에 문제가 있는 소아환자, 노인환자, 정신질환자 등과 병상에 누워있는 중환자 그리고 구토감을 겪는 환자 등이 해당한다. 사실 이들 말고도 물과 함께 정제를 복용하는 것에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들은 적지 않다. 157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한 연구에서는
동화약품은 젠자임코리아와 유착방지제 '세프라필름'의 국내 독점 유통 및 판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젠자임은 사노피 그룹의 스페셜티케어사업 부문 자회사다. 이번 계약으로 동화약품은 세프라필름의 국내 모든 유통 및 영업과 마케팅을 전담한다. 생체흡수형 유착방지제인 세프라필름은 주로 복부, 골반, 흉부 수술시 유착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의료기기다. 1996년 미국 식품의약품국(FDA) 허가를 받은 이후 20년간 풍부한 사용경험을 바탕으로 한 다수의 임상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동화약품 관계자는 "유착방지제 중
지난해 12월 반도체 팹리스(Fabless) 기업인 넥스트칩은 바이오의약품 전문개발기업 바이오버드 지분 79%를 인수하면서 바이오산업 진출을 선언했다. 바이오버드는 ‘앤씨비아이티(NCBIT)’라는 새로운 사명과 함께 도약의 기회를 얻었다. 앤씨비아이티는 보유한 다양한 지혈제 제품의 상업화를 우선 목표로 삼았다. 앤씨비아이티는 정광회 연세의대 교수가 2000년에 설립한 심혈관 진단, 치료제 개발관련 바이오벤처로 현재 중점사업은 지혈제 개발이다. 넥스트칩은 지혈제 사업분야의 잠재성과 진단분야에서 반도체 기술을 접목할 수 있는 진단센서
유전자진단 전문기업 파나진은 혈액으로 암을 진단하는 ‘파나뮤타이퍼 EGFR(PANAMutyper™ R EGFR) 키트’에 대한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MFDS)의 의료기기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28일 밝혔다. 파나뮤타이퍼는 환자의 혈액 등 액체생검(Liquid Biopsy) 검체로부터 폐암을 포함한 암 관련 돌연변이를 세계 최고 수준의 높은 정확도와 민감도로 검출하는 기술이다. 또한 이미 보편화된 실시간(Real-Time) PCR 장비를 사용해 일선 병원에서 직접 진단이 가능한 장점도 지니고 있다. 이번 식약처 허가를 받은 파
JW중외제약이 안정적인 실적 개선 흐름을 지속했다. 지난 2009년 이후 7년 만에 매출 신기록을 세우며 한동안 지속됐던 실적 부진에서 완연하게 벗어나는 분위기다. JW중외제약의 주력 사업인 수액제 부문이 회사 성장을 견인했고 자체 연구개발(R&D)과 외부 R&D 역량을 적극 활용해 만든 신제품이 간판 제품의 세대교체를 이끌었다. 2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JW중외제약은 지난해 별도 기준 영업이익이 224억원으로 전년대비 1.1% 늘었고 매출액은 4675억원으로 7.6%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년 연속 상승했고 매출액은 2013년
국내 연구진이 생쥐의 특정 유전자 염기를 바꾸는데 성공했다. 염기교정 유전자가위를 동물에 적용한 첫 사례로 특정 염기의 문제로 발생하는 각종 유전질환의 치료 가능성을 열었다. 기초과학연구원 유전체교정연구단 김진수 단장 연구팀은 28일 오전 1시(한국시간) DNA 염기 하나만을 바꾸는 유전체 교정법 ‘크리스퍼 염기교정 유전자가위(Base Editor, targeted deaminase, 염기교정 유전자가위)’를 활용한 실험 결과를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Nature Biotechnology, IF 41.514)’ 에 게재했다. 생
"더 큰 성장을 위해 창업당시의 초심을 잃지 않고 도전을 멈추지 않겠습니다." 셀트리온그룹은 27일 서울 하얏트호텔에서 창립 15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이날 행사에는 서정진 회장을 비롯한 셀트리온그룹 사장단 및 임직원 400여명을 비롯해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 손문기 식품의약품안전처장, 유대현 한양대학교 교수, 이시종 충북도지사 및 유정복 인천시장 등이 참석했다. 서 회장은 이날 기념사를 통해 “2002년 설립 이후 15년 간 남들이 가지 않은 새로운 길을 가며 셀트리온을 성장시키기 위해 밤낮없이 헌신했던 전 현직 임직원의 노고
국내에서 의약품·의약외품을 생산하는 업체에 근무하는 직원이 1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생산직과 연구직 종사자 수가 크게 늘었다. 27일 한국제약협회는 지난해 제약업계 종사자 수가 9만4929명으로 전년(9만4510명)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2011년 7만4477명보다는 27.5% 증가, 매년 약 4000명 가량이 신규 인력을 고용한 셈이다. 이 조사는 제약협회에 생산실적을 보고하는 완제의약품ㆍ원료의약품ㆍ의약외품 제조업체 853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된 결과다. 생산 인력과 연구 인력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지난
툴젠은 '캄필로박터 제주니(Campylobacter Jejuni)'균에서 유래한 바이러스 유전자치료 적합 크리스퍼(CRISPR/Cas9) 유전자가위를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툴젠, 기초과학연구원(김진수 단장), 서울대병원(김정훈 교수)의 공동으로 진행한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21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발표됐다. 유전자교정은 세포 내에서 유전정보를 정확하게 바꾸는 혁신 생명과학 기술로 크리스퍼는 유전자교정의 핵심도구다.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유전자전달 기술과 유전자교정 기술의 접목이
지트리비앤티가 올해 수포성표피박리증(Epidermolysis Bullosa, EB) 신약의 미국 임상 3상에 돌입한다. 지트리비앤티는 최근 수포성표피박리증 임상 3상 계획에 대해 FDA와 합의했다고 27일 밝혔다. FDA는 별도 승인절차가 없기 때문에 '합의'는 KFDA의 '승인'과 같은 효력을 지닌다. 이에 따라 지트리비앤티는 올해 3분기 내 미국에서의 EB 임상 3상 시험에 진입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필요한 준비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포성표피박리증은 유전적 결함에 의해 표피와 진피 경계부를 구성하는 단백질에 이상이 나
우리 몸속에는 세포 수의 10배나 되는 미생물이 같이 살고 있다. 휴먼 마이크로바이옴은 인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미생물 집합체를 말하는 것으로 최근 이 미생물이 인체와 상호작용을 통해 물질대사, 면역체계와 신경계 발달, 다양한 질환의 발생과 예방 등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세컨드 게놈’이라는 별칭에서도 마이크로바이옴의 중요성은 짐작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애브비, 화이자, J&J와 같은 글로벌 제약사들이 관심을 가지고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신약 개발 사업
휴온스글로벌은 보툴리눔톡신제제 신제품 '휴톡스'의 대량 생산기반 구축을 위해 내년 상반기까지 약 100억원을 신규 투자해 새 공장을 건설한다고 27일 밝혔다. 휴온스글로벌은 충북 제천공장 내에 추가 부지를 확보해 올해 1분기부터 세계적인 전문 컨설팅 사의 자문을 받아 미국 및 유럽 cGMP규정에 맞는 생산시설 설계와 시공을 진행할 예정이다. 오는 2018년 상반기 보툴리눔톡신 2공장 건설을 완료할 예정이다 앞서 휴온스글로벌은 지난 2014년 제천공장에 보툴리눔톡신 제 1생산공장을 건설했으며 생산과 연구개발(R&D)에 약 80억원
"중국 최대 CRO(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연구개발대행기업)인 우시 앱택(Wuxi AppTec)을 가보면 공장 한동 전체가 화이자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어요. 옆 건물에서는 GSK 연구를 합니다. CRO 비즈니스에서는 중국은 이미 글로벌 국가입니다." 국내 CRO 컨설팅업체인 유켐(U CHEM)의 권호영 대표는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들이 중국 CRO에 아웃소싱 (outsourcing)해 연구개발하는 트렌드를 당연한 현상이라고 했다. 저렴한 비용에 글로벌 스탠다드를 따르는 과정, 최첨단 설비, 우수
바이오의약품 전문기업 폴루스는 27일 경기도 화성시 소재의 ‘장안2 외국인투자지역’에 바이오시밀러 공장 건설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폴루스는 지난달 23일 경기도시공사와 사업부지 48,000㎡(약 14,000평)의 장기 임대계약을 체결했다. 폴루스는 이 사업부지에 2018년 2월까지 인슐린 및 성장호르몬 등의 치료용 단백질의약품으로 대표되는 1세대 바이오시밀러 공장을 건설할 예정이다. 폴루스는 같은 해 3분기 바이오시밀러 생산제품의 글로벌 임상에 돌입해 2020년부터 유럽과 미국 등 주요 국가에서 제품판매승인을 획득,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 "결정"
박순재 알테오젠 "1개월 플랫폼 개발..2027년 비만임상"
에임드바이오, 코스닥 상장예심 통과.."연내상장"
머크, ‘키트루다 SC' 유럽 허가 “CHMP 긍정의견”
알지노믹스,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 "통과"
화이자-아비나스, '무색해진' 최초 PROTAC "매각 결론"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유한양행, 오송 신공장 기공..'글로벌 수준' 제조라인 구축
종근당, '자율형 공장 구축사업' 발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