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 10년간의 교훈은 바이오시밀러가 더이상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다는 것입니다. (오리지널 의약품을 처방받는 환자가 중도에 약을 바이오시밀러로 변경하는) 스위칭도 가능합니다. 다만 바이오시밀러가 이제 성공하기 위해서는 가격 외의 차별화가 필요한 시점에 다다랐습니다." 퍼 트로인(Per Troein) IMS헬스그룹 부사장은 1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막한 '바이오코리아 2017' 바이오시밀러 관련 컨퍼런스에 참가해 이 같이 강조했다. 유럽은 세계 최초 성장호르몬 소마트로핀(Somatropin) 바이오시밀러가 등장한지 10년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가 핵심 플랫폼 기술인 ADC(Antibody Drug-Conjugate, 항체약물 결합체)의 미국 특허를 획득했다.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는 13일 미국 특허청으로부터 ‘ADC용 항체 구조 및 이의 용도(Antibody-Active Agent Conjugates and Method of Use)’ 특허를 인정받았다고 밝혔다. ADC는 항체(Antibody)와 합성의약품(Chemical)의 결합을 통해 높은 안정성과 탁월한 약효를 동시에 구현하는 치료제로서 현재 글로벌 제약시장에서 가장 주목 받는 차세대 표적항
비씨월드제약은 자체 개발 개량신약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첨단의료기술개발사업 국책과제로 선정됐다고 13일 공시했다. 국책과제로 선정된 제품은 급성관상동맥증후군과 혈전성 심혈관 질환 치료를 위한 복합제다. 현재 비임상 단계가 진행 중이다. 비씨월드제약은 오는 2018년까지 복지부 출연금 5억2100만원을 포함해 총 6억9600만원을 투입해 이 제품의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다.
국내 새로운 바이오텍이 모습을 드러냈다. 신약개발의 리스크와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해 신약, 신약플랫폼을 개발하는 샤인바이오가 그 주인공이다. 한성호 샤인바이오 대표는 12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바이오코리아 2017’의 기업설명회에서 회사의 플랫폼과 진행 중인 파이프라인을 소개했다. 한성호 대표는 “신약개발의 리스크와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방법으로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해 신약과 신약플랫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했다. 대학 또는 병원 연구소에서 진행되고 있는 초기 기술 혁신이 신약 개발과 성공으로
제넥신은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첨단의료기술개발사업 신약개발 부분에 지속형 당뇨병 치료제 'GX-G6'의 임상1상시험 과제가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GX-G6는 제넥신의 원천기술인 hyFc에 인슐린 분비 촉진 및 혈당 상승 억제 호르몬인 GLP-1(Glucagon-like Peptide-1,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을 융합시킨 제2형 당뇨병 치료제로서 치료적 효능뿐만 아니라 안전과 환자 편의성을 증가시킨 차세대 바이오신약이다. GX-G6는 비임상시험 단계부터 보건복지부의 지원을 받아 연구개발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2016 보건
지난주 미국 암연구학회(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AACR) 연례회의에서 아스피린을 장기간 정기적으로 복용 시 대장암, 유방암 및 전립선암 등 다양한 유형의 암으로 사망 할 위험이 감소됐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메사추세츠 종합병원 임상 및 중계역학 연구팀은 1980년부터 2012년까지 32년 동안 간호사 건강연구(Nurses' Health Study)에서 8만6천206명의 여성과 의료전문요원 건강 후속연구(Health Professionals Follow-Up Study)에
'바이오코리아 2017'이 개막한 12일 오후 서울 삼성동 코엑스 3층 전시관(C홀). 다른 전시관(D홀)으로 이동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명당 자리에 자리잡은 '젠큐릭스' 부스에는 국내외 방문객들이 끊이지 않았다. 국내 최초의 유방암 예후진단키트 '진스웰(GenesWell) BCT'에 대한 높은 관심탓이다. 해외바이어와 30여분 대화를 나누던 조상래 대표는 "이번 행사에서 유방암 예후진단키트에 관심을 보이는 10여곳의 외국계 기업들과 미팅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상반기 유방암 예후진단키트에 대한 신의료기술 평가가 마무리되면
삼성바이오에피스가 대표 산학 협력 프로그램인 '연구노트 경진대회' 확대를 통해 바이오 인재를 양성한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12일 고한승 사장이 정병석 전남대 총장과 '연구노트 경진대회' 관련 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향후 3년간 전남대학교 바이오 전공 대학(원)생에게 연구노트 작성법 및 가이드라인을 전파하고 경진대회를 개최, 심사를 거쳐 우수 학생에게 시상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식은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지난 2015년부터 카이스트(KAIST)와 진행하고 있는 연구노트 경진대회의 성과 경험을 다른 대학에도 전파하
얀센(Janssen)은 일본의 생명공학회사 펩티드림(PeptiDream)과 총 11억5000만 달러 규모의 신약 공동연구협약(Discovery Collaboration Agreement)을 체결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펩티드림의 독점적 기술인 펩타이드 디스커버리 플랫폼 시스템(Peptide Discovery Platform System, PDPS)는 얀센이 선택한 여러 신진대사 및 심장혈관 표적에 대한 특정 펩타이드를 확인하는 데 사용될 계획이다. 얀센은 협약에 따라 발견한 모든 화합물의 개발 및 상업화에 대한 권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는 12일 그람양성균 수퍼항생제 LCB01-0371이 보건복지부 주관 '2017년도 제1차 첨단의료기술개발사업'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LCB01-0371은 다제내성결핵(MDR-TB), 메치실린 내성 포도상구균(MRSA),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VRE)등 그람양성 수퍼박테리아를 치료하는 차별적 장기복용 안전성을 보유한 차세대 옥사졸리디논계 항생제로 레고켐바이오는 해당 후보물질의 중국 판권을 2016년 12월 약 240억 규모로 기술이전 한 바 있다. 현재 해당 후보물질은 다제내성 결핵을 적응증으로는 하는 경구
제약∙바이오 산업이 진화하면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가진 바이오텍이 속속 출연하고 있다. 최소 10년이 걸리는 고위험 고수익(high risk high return)의 험난한 신약개발과정에 전략적으로 접근해 리스크는 줄이고 성공률은 높이겠다는 시도다. 가능성을 가진 초기개발단계의 파이프라인을 들여와 임상개발을 통해 가치를 높인 후 기술이전하는 NRDO(No research develop only) 모델이 늘어나는 것도 이러한 흐름의 일환이다. 이 변화는 바이오텍에 국한되지 않는다. R&D 투자 대비 생산성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빅
"바이오산업을 주도하는 미국은 이 분야 투자가 30% 이상 차지하고 있습니다. 국내 역시 2013년 바이오분야 투자 비중이 10%를 돌파해 지난해 업종별 1위(21.8%)를 기록할 정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신정섭 KB인베스트먼트 본부장은 12일 '바이오코리아 2017'의 프레스 컨퍼런스에서 이같이 말하며 국내 바이오산업의 성장을 낙관했다. 스타트업 등 초기 기업에 대한 투자의 성과가 결국 전체 산업의 성장으로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벤처캐피탈의 투자는 실물시장 보다 5년 선행하기 때문에 전체 산업에서 바이오의 비중이
MSD는 자사의 당뇨병 치료제 자누비아(Januvia, sitagliptin)와 자누멧(Janumet, sitagliptin and metformin HCl)에 심장장애 위험을 높이지 않는다는 라벨표시 요청을 미국 FDA가 거절했다고 최근 밝혔다. MSD는 2015년 2형 당뇨병과 심장질환 병력이 있는 환자 1만472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 TECOS(시타글립틴의 심혈관 결과 평가 시험, Trial Evaluating Cardiovascular Outcomes with Sitagliptin)이 주요 평가지수를 달성한 결
서울제약은 기업통합이미지(CI, Corporate Identity)를 교체했다고 12일 밝혔다. 지난 17년간 사용한 CI를 글로벌 기업 이미지에 맞춰 리뉴얼했다. 새로운 CI는 현대적 감각의 영문자를 사용해 'Global'의 의미를 부각시켰다. 둥근 원은 서울제약이 추구하는 인본사상과 인류애, 건강과 건강을 통한 행복을 상징했다. 정사각형은 서울제약의 강인한 도전정신과 믿을 수 있는 품질을 강조했다. 원과 정사각형은 서울제약이 생산하는 의약품의 정제와 필름제의 제형을 각각 의미하기도 한다. 서울제약 측은 "CI의 서체는
로슈(Roche)는 자사의 표적항암제 알레센사(Alecensa, alectinib)가 화이자(Pfizer)의 잴코리(Xalkori, crizotinib)보다 무진행 생존기간(progression-free survival, PFS)이 우위에 있음을 보여주는 3상 임상시험 결과를 1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역형성림프종키나제(anaplastic lymphoma kinase, ALK) 양성 비소세포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환자를 대상으로 한 3상 임상시험 ALEX 결과 데이터에 따르면 알레센
휴온스는 안구건조증치료제로 개발 중인 점안제 'HU00701/HU007'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 2상시험을 종료하고 결과 보고를 완료됐다고 12일 밝혔다. 안구건조증 치료제는 대표적으로 항염증 작용의 사이클로스포린 단일제와 안구 보호작용의 히알루론산 단일제 등이 있다. 휴온스가 산업통상자원부의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을 통해 개발 중인 나노복합점안제는 기존 사이클로스포린 단일제에 비해 사이클로스포린의 사용량을 줄이면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점안제로 평가받는다. 휴온스 측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는 안구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 "결정"
박순재 알테오젠 "1개월 플랫폼 개발..2027년 비만임상"
에임드바이오, 코스닥 상장예심 통과.."연내상장"
머크, ‘키트루다 SC' 유럽 허가 “CHMP 긍정의견”
알지노믹스,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 "통과"
화이자-아비나스, '무색해진' 최초 PROTAC "매각 결론"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유한양행, 오송 신공장 기공..'글로벌 수준' 제조라인 구축
종근당, '자율형 공장 구축사업' 발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