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엔게인은 스스로를 ‘화학기술’ 기반 의료기기 회사라고 소개한다. 바이오제약 및 의료 분야에서 ‘화학기술’ 회사라고 말하면 대부분 신약개발이나 제약사업을 떠올리기 마련이다. ‘의료기기’라는 단어 역시 물리, 기계적 이미지에 가까워 ‘화학기술’과 ‘의료기기’를 접목시킨 엔게인의 컨셉은 생소한 면이 없지않다. 설립 초기 2012년, 엔게인은 하이드로겔(수화겔)을 활용해 환자의 체액으로부터 혈당 등 생체정보를 인식하는 센서를 개발중이었다. 예를들면 채혈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기기 등을 내놓고 싶었다. 그러면서 고분자
The concept of genomic analysis in precision medicine is increasingly evolving. For the past five years, the focus has been on the concept of diagnosis to find an appropriate treatment by analyzing the patient's genome. And it is now moving on to understanding and applying biological phenomena that
The year 2020 was a year in which the perception of mRNA technology was completely changed. The product was approved less than a year after the discovery of the drug, removing the doubts that had been cast on mRNA technology in the early stages of the COVID-19 pandemic. As the mRNA technology has b
쓰리빌리언(3billion)은 희귀 유전질환에 포커스한다. 희귀질환은 이미 7000개가 넘고 매년 250개정도씩 생겨나고 있다. 그중 70%가 유전질환이다. 자신이 희귀질환인지 모르고 제대로 진단받지 못한채 여러병원을 전전하는 '진단방랑' 환자들을 위한 희귀질환 진단 솔루션을 제공하고, 이제 한발짝 더 나아가 이를 기반으로 한 신약개발을 위한 도전에도 나섰다. 금창원 쓰리빌리언 대표가 추구하는 회사의 가치는 분명하다. 금 대표는 “시장의 수요가 있지만 남들이 잘하고 있지 못하는 것, 꼭 있어야만 되는 제품인데 지금 없는 것을 고민
김용철 펠레메드 대표는 “자체 개발한 저분자화합물 신약발굴 플랫폼을 이용해 신규 항암제 표적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이를 통해 기존 치료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종양의 치료가 가능하고 내성발생 위험이 낮은 새로운 기전의 항암제를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펠레메드의 신약발굴 플랫폼인 펠레셀렉트(PeLeSeLect)는 △활성화된 카이네이즈(kinase)의 구조를 예측한 데이터베이스와 △카이네이즈에 결합하는 물질의 데이터베이스(ligand database)로 구성돼 있으며, 이를 통해 활성화된 카이네이즈의 ATP 결합 부위를 타깃하는 신약
In-sang Lee, CEO of Baobab AiBio, said “With cryogenic electron microscopy (Cryo-EM), we will analyze the protein structure that could not be done with the existing X-ray crystallography technology, and proceed with the efficient and rapid development of new drugs through quantum mechanics and arti
큐어바이오 테라퓨틱스(CureBio Therapeutics, 큐어바이오TX)가 다시 한번 ARS(aminoacyl-tRNA synthetase) 기반 신약 개발에 도전한다. 물성 등의 이유로 한때 개발을 중단했다가 재도전에 나선 신약 후보물질로 10년을 투입한 프로젝트다. 박민철 큐어바이오TX 대표는 “박사과정부터 연구해온 GARS(glycyl-tRNA synthetase) 단백질 신약후보물질을 2012년 국내 제약사에 기술이전했으나 물성 등에 대한 문제로 결국 개발이 잘 진행되지 않았다”며 “지난 2014년에는 후보물질을 기술이
애스톤사이언스의 신약개발 전략은 2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는 초기 리서치가 아닌 어느정도 개발된 약물을 도입해 집중적으로 신속하게 개발하겠다는 것이다. 둘째는 임상개발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질환을 대상으로 다양한 기전의 파이프라인을 넓게 구축하는 것이다. 정헌 애스톤사이언스 대표는 "개인적으로 임상1상과 임상3상 진입을 약물 개발에 있어 큰 허들로 생각한다”며 “개발이 진행된 약물을 가져오게 되면 비용은 더 들어갈 수 있지만, 그만큼 신속하게 진행해 성공확률을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임상1상과 3상이 높
정밀의료(precision medicine) 유전체 분석이라는 개념은 점점 더 진화하고 있다. 지난 5년동안은 환자 유전체를 분석해 적절한 치료를 찾는 진단의 개념에 포커스돼 있었다면, 이제는 인간 유전체 빅데이터에서 지금까지 알지못했던 생물학적 현상을 이해하고 치료제 개발에 적용하는 단계로 넘어서고 있다. 대표적인 회사가 리제네론 파마슈티컬(Regeneron Pharmaceuticals)이다. 리제네론은 2014년 리제네론유전학센터(Regeneron Genetics Center, RGC)를 설립해 대규모 시퀀싱과 분석 프로그램을
김종철 에이아이더뉴트리진(AItheNutrigene) 대표는 “향후 질병을 집에서 간편하게 진단하는 자가진단키트 시장 규모는 엄청나게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등온램프(LAMP) 방식의 종이 바이오칩 기반 분자진단키트를 상업화해 다양한 감염병에 대한 자가 신속분자진단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뉴트리진은 2013년 김종철 대표와 이재성 박사, 문병원 박사가 주축이 돼 설립했다. 초기에는 영양제 사업과 유전체분석을 통한 건강진단 솔루션 개발을 진행해왔다. 특히 유전체 분석과 영양제 사업은 뉴트리진의 캐쉬카우
GeneMedicine is a bio-company specializing in anti-cancer adenovirus. It was founded in 2014 by Professor Chae-ok Yoon of the Department of Biotechnology, Hanyang University. Since its establishment, GeneMedicine has achieved the outcomes of signing 12 technology transfer contracts with companies a
지난 2020년은 그동안의 mRNA 기술에 대한 인식이 완전히 바뀌는 한 해였다.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에 mRNA 기술에 드리웠던 의심을 걷어내고, 약물 발굴을 시작한지 1년도 안된 시점에서 제품을 승인받았다. 성인에 대한 예방 효율은 94~95%, 더 어린 나이대에서는 100%를 기록했다. 팬데믹이라는 극단의 어려움 속에서 mRNA 기술은 상상을 넘어선 힘을 보여주고 있다. 또 의미있는 점은 mRNA 기술이 임상에서 증명되면서 그 다음의 ‘차세대 mRNA’ 기술에 투자하는 움직임이 시작됐다는 것이다. 여러 차세대 mRNA 기술
“I think the diagnostic market will consider highly sensitive ‘digital PCR’ as the most important technology in the future. When the liquid biopsy market is opened through this high-sensitivity molecular diagnostic technology, a variety of diseases can be diagnosed using not only blood but also oth
이인상 바오밥에이바이오(Baobab AiBio) 대표는 “초저온 전자현미경(Cryo-EM)으로 기존 X선 결정법으로 할 수 없던 단백질 구조를 분석하고 양자역학과 인공지능(AI) 기술을 통해 효율적이고 신속한 신약개발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018년 설립된 바오밥에이바이오는 노경태 연세대 교수와 김태일 연세의대 교수가 설립했으며 2019년 LG생명과학 출신의 이인상 대표가 신약개발 담당으로 합류하며 노경태∙이인상 공동대표 체제로 전환했다. 또 2019년 신촌 연세대에서 인천 송도 연세대 국제캠퍼스로 회사를 이전했다.
“진단시장에서 민감도가 높은 ‘디지털 PCR(digital PCR)’ 기술이 앞으로 가장 중요한 기술로 여겨지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러한 고감도 분자진단 기술을 통한 액체생검 시장이 열리게 되면 혈액 뿐만 아니라 다른 인체 유래 샘플을 통해서도 다양한 질환의 진단이 이루어져 진단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 이성운 레보스케치(Revosketch) 대표이사는 지난 1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센터에서 열린 ‘데일리파트너스 D’LABs 데모데이’에서 레보스케치의 디지털 PCR 장비와 기술에 대해 발표했다. 레보스케치는 이 대
넥스트젠바이오(Nextgene Biosciences)는 지난 2018년 대웅제약 부사장 출신의 이봉용 대표가 설립했다. 이 대표는 “평생 사명인 환자에게 새로운 삶을 제공할 수 있는 난치성질환 치료제 신약을 제대로 연구하고 싶어 창업하게 됐다”고 창업이유를 설명했다. 이 대표는 “지금 당장 시장에 통하는 약이 아닌 그 다음 세대에 필요로 하는 약을 개발하고자 한다”며 “미충족의료수요가 있는 난치성 섬유증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약물을 개발하기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대웅제약, 유한양행, SK케미칼 등에서 연구소
베링거, 'HER2 TKI' 폐암 "기세..post-ADC서도 효능"
LG화학, 新면역관문 ‘LILRB1 항체’ 전임상 “첫 공개”
셀트리온, 'HER2xCD3 TCE' 전임상 "AACR 구두발표"
獨머크 ‘결국’, 스프링웍스 39억弗 인수.."희귀종양 확대"
오름, 결국 'HER2 GSPT1 DAC' "자진취하..개발중단"
화이자, 'PD-1 SC' 방광암 3상 세부 "EFS 32% 개선"
릴리, AI 크레욘과 '新올리고 약물' 개발 "10.13억弗 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이엔셀, 셀트리온 출신 염건선 이사 영입
삼진제약, BD담당에 이서종 이사 영입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티움바이오, TGF-β/VEGF+키트루다 2상 "ASCO 발표"
이뮨온시아, 공모가 상단 3600원 확정.."329억 조달"
바이젠셀, 테라베스트와 'GD2 CAR-NK' 공동개발 계약
온코닉, ‘PARP/TNKS’ 위암 전임상모델 “효능 확인”
JW C&C硏, ‘STAT5/3’ 비임상 동물모델 결과 “첫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