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스펙테이터 천승현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보고된 의약품 부작용이 총 22만8939건으로 전년(19만8037건) 대비 15.6% 늘었다고 30일 밝혔다. 지난 2011년 7만4657건에서 5년 만에 3배 가량 늘 정도로 매년 지속적인 증가세다.
식약처는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의 점진적 확대 시행과 지역 지역의약품안전센터의 부작용 보고 필요성에 대한 홍보, 운영실적이 높은 센터에 운영비를 차등 지급하는 등 부작용 보고 활성화 정책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라고 설명했다.
▲연도별 의약품 부작용 보고 건수
식약처는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을 통해 의약품 안전성 정보를 보고받는다. 부작용 보고는 의약품과 인과관계 여부와 관계없이 이상사례 의심약물로 보고된 것으로 보고내용만으로 특정 약물에 의해 부작용이 발생했다고 확정할 수 없는 정보도 포함된다.
효능군별 부작용 보고건수를 보면 ‘해열진통소염제’가 3만1104건(13.6%)으로 가장 많았고, ‘항악성종양제’ 2만1348건(9.3%), ‘항생제’ 1만8441(8.1%), ‘X선 조영제’ 1만8240건(8.0%), ‘합성마약’ 1만7755건(7.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증상별로는 ‘오심’ 3만9743건(17.4%), ‘가려움증’ 2만1197건(9.3%), ‘어지러움’ 1만8406건(8.0%), ‘구토’ 1만7302건(7.6%), ‘두드러기’ 1만5932(7.0%) 등의 순으로 보고됐다.
보고 주체별로 살펴보면 지역의약품안전센터가 16만3676건(71.5%)으로 가장 많았다. 제조・수입업체(5만9600건, 26.0%), 병·의원(3077건, 1.3%), 소비자(2445건, 1.1%) 등이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