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W중외제약이 지난해 덴마크 레오파마로 기술이전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JW1601(레오파마 프로젝트명 LP0190)’가 한국에 이어 미국 임상 진입을 시도한다. JW중외제약은 27일, 레오파마가 JW1601의 약동학 분석을 위한 임상시험계획(IND)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신청했다고 밝혔다. JW1601은 히스타민(histamine) H4수용체에 선택적으로 작용해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하는 면역세포의 활성과 이동을 차단하고 가려움증을 일으키는 히스타민의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이중 작용기전을 가진 신약 후보물질이다. JW중외제
세포유래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 EV) 활용 난치질환 치료제 개발하는 엠디뮨이 시리즈B로 107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데일리파트너스, 더웰스인베스트먼트, 쿼드자산운용, 케이클라비스인베스트먼트, 스틱벤처스, 인터밸류파트너스 등이 참여했다. 엠디뮨은 이번 투자금으로 암과 퇴행성질환을 타깃한 치료제 후보물질의 임상 개발을 본격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엠디뮨은 DB금융투자를 주관사로 선정했으며, 상장 준비에 들어간다. 세포유래 소포체는 세포로부터 분비되거나 혹은 추출할 수
보령제약이 PI3K, DNA-PK 동시저해 항암 신약후보물질 'BR2002’의 미국 임상 1상에 돌입한다. 보령제약은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BR2002의 1상 진행을 승인받았다고 27일 밝혔다. BR2002 1상은 90명 비호지킨성 림프종 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며, 2024년 2월 최종 완료가 목표다. BR2002는 보령제약이 글로벌 항암제 시장 진출을 목표로 개발하고 있는 프로젝트로 2016년 한국화학연구원으로부터 기술이전 받아 개발하고 있다. 암세포의 주요 성장·조절 인자인 'PI3K'와 'DNA-PK'를
Abion’s hepatocyte growth factor receptor (c-Met) target anticancer drug under development has been approved for phase 1/2a clinical trials in Korea following Australia. Abion will conduct global clinical trials of the anticancer drug at eight hospitals including Korea and Australia. Abion is target
진메디신은 항암 바이러스치료제 ‘GM103’가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의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 과제로 선정됐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진메디신은 항암바이러스의 약리학 특성과 안전성에 대한 심화연구를 진행함과 동시에 GM103의 비임상 및 임상시험을 대비한 대량 생산의 기틀을 마련할 계획이다. GM103은 정상 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암세포에서만 특이적으로 증식해 암세포를 살상할 수 있는 항암 아데노바이러스이며, 또한 바이러스 내에 함께 탑재된 두개의 치료유전자가 암세포 내에서 고농도로 발현되도록 설계돼 항암 효과를
GSK의 HIV 전문기업 비브 헬스케어(ViiV Healthcare)는 HIV 감염 환자에게 장기지속형 2개 치료제를 병용투여한 ATLAS-2M 글로벌 임상3상(NCT03299049)의 결과를 지난 22일 발표했다. 비브의 장기지속형 ‘카보테그라비르(Cabotegravir)’와 얀센의 장기지속형 ‘릴피비린(Rilpivirine, 제품명: Edurant)’을 2개월에 1회 투여하는 치료법이 1개월에 1회 투여하는 치료법 대비 항 바이러스 활성 및 안전성에 있어 비열등성을 보여 1차 종결점을 충족했다는 결과다. 비브 헬스케어는 200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26일 기업심사위원회 심의 결과 코오롱티슈진의 상장폐지를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코오롱티슈진이 2017년 11월 코스닥에 상장한지 1년 9개월여만이다. 다만 이번 결정이 즉시 발효되는 것은 아니다. 이번 결정에 따라 거래소는 앞으로 15영업일 이내에 코스닥시장위원회를 열어 코오롱티슈진의 상장폐지 여부, 개선기간 부여 여부 등을 심의, 의결할 예정이다. 마지막 코스닥시장위원회에서 상장폐지 결정이 내려지더라도 코오롱티슈진이 이의신청을 하면 한차례 더 심의가 진행된다. 이에 따라 상장폐지 결정이 최종 확정되기까지
지아이이노베이션이 375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이번 지아이이노베이션의 투자에는 유한양행이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해 60억원을 베팅했다. 지아이이노베이션은 26일 남수연 대표, 장명호 의장(창업자) 등이 참여한 가운데 기자간담회를 갖고 최근 375억원의 시리즈B 투자를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지아이이노베이션은 2017년 문을 연 후 2년여만에 약 700억원의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이번 투자에는 유한양행이 전략적 투자자로, 아주IB투자, 데일리파트너스, 디에스자산운용, 타임폴리오자산운용, 클라우드IB, 케이클라비스, 하
미국 레트로핀(Retrophin)이 판토텐산 키나아제 연관 신경퇴행(pantothenate kinase-associated neurodegeneration, PKAN) 환자 대상 임상3상(FORT, NCT03041116)에서 ‘포스멧판토테네이트(fosmetpantotenate)’의 약효를 입증하지 못했다고 2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FORT 연구에서 포스멧판토테네이트 투여그룹과 위약그룹 간의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으며, 종결점으로 설정된 PKAN-ADL(PKAN 평가척도), UPDRS Part III(파킨슨병 평가척
미국 나스닥, 홍콩증권거래소(HKEX)에 상장한 중국 바이오제약사 베이진(BeiGene)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이전에 1회 이상 치료받은 경험이 있는 재발성/불응성 외투세포림프종(Mantle cell lymphoma, MCL) 환자의 치료제로 BTK 저해제 ‘자누브루티닙(Zanubrutinib, 프로그램명: BGB-3111)’에 대한 신약허가신청(NDA) 심사를 승인했다고 지난 21일 밝혔다. 베이진이 FDA에 신약허가를 신청한 첫번째 치료제다. FDA는 자누브루티닙을 우선심사 대상으로 지정해 ‘처방의약품 신청자 수수료법(
G+Flas Life Sciences succeeded in attracting $12 million (12 billion KRW) worth of investments into Series C. According to G+ Flas Life Sciences on Tuesday, Smilegate Investment, Alpen Route Asset Management, Chong Kun Dang Pharma and New Flight participated in this investment. G+Flas succeeded in a
GSK의 BCMA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가 후기 임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내면서, 다발성골수종 치료제 시장에서 BCMA(B-cell maturation antigen) 타깃을 둘러싼 경쟁을 예고했다. 다발성골수종은 2번째로 흔한 혈액암으로, 2017년 기준 시장규모는 140억달러에 달한다. 그러나 아직 환자를 완치하는 약물이 없으며, 대부분 재발한다. 이 가운데 최근 2~3년 사이 BCMA 약물이 다발성골수종 환자 대상 임상에서 우수한 결과를 내면서, 차세대 타깃으로 떠오르고 있다.
스파크바이오파마(SparkBioPharma)가 신약 파이프라인 개발을 본격화할 250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를 완료했다. 스파크바이오파마는 이를 통해 저분자화합물 기반의 면역항암제, 비알코올성지방간염치료제 등의 연구개발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스파크바이오파마의 이번 시리즈B에는 기존 투자자인 KB인베스트먼트를 비롯해 KTB네트워크(리딩),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IMM인베스트먼트, 이앤벤처파트너스, 컴퍼니케이파트너스가 참여했다. 2016년 문을 연 스파크바이오파마는 창업자인 박승범 서울대 화학부 교수가 구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KoNECT)은 지난 21일 중국 상위 CRO인 타이거메드(Tigermed)와 한국과 중국의 신약개발 및 임상개발 역량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타이거메드는 2004년 설립돼 한국 및 중국 전역, 아시아(호주), 미국, 유럽 등으로 진출해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중국 기반의 글로벌 CRO다. 타이거메드는 2015년 한국의 CRO 드림씨아이에스를 인수하고 한국에서 본격적인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KoNECT와 타이거메드가 체결한 이번 협약의 주요 사항은 ▲ 한국과 중국의 의약 산업의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KDDF)이 오는 9월 5일(목)부터 6일(금)까지 여주 썬밸리 호텔에서 ‘2019 R&D 워크숍’을 개최한다고 26일 밝혔다. R&D 워크숍은 국내 신약개발 종사자 200명을 대상으로 글로벌 신약개발 성공을 위해 사업단에서 매년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이번 R&D워크숍은 “약물타깃 가능성&약물개발 가능성(Druggability&Developmentability)”이라는 주제로 비임상, 임상 전략 및 생산 등에 있어 합성 의약품과 바이오 의약품의 개발 단계별 주요 병목 지점을 분석하고, 이를 돌파하기 위한 방
옵토레인이 개발한 반도체 기반 분자진단장비인 'Digital Real-Time PCR'이 미국 질병관리본부를 통해 개도국 시장에 진입한다. 옵토레인의 Digital Real-Time PCR은 Real-Time PCR과 Digital PCR의 장점을 결합해 실시간으로 높은 민감도의 진단이 가능하다. 옵토레인은 이달초 미국 질병관리본부(US-CDC) 개도국 일부 지부에 Digital Real-Time PCR을 처음으로 공급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제품은 AIDS 환자의 혈액내 HIV-1 바이러스 개수를 정밀하게 측정하는데 활용된다.
노바티스, 몬테로사와 "또 면역" 분자접착제 '57억弗 딜'
알테오젠, '아일리아 시밀러' 유럽 "시판허가 획득"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 "결정"
에이프릴, "전략변화" SAFA 개선 '차세대 플랫폼'은?
에스티팜, 내달 PoC 결과 ‘ALLINI’ HIV “개발전략은?”
박순재 알테오젠 "1개월 플랫폼 개발..2027년 비만임상"
BMS 'PRMT5 저해제' 새 단서? "EGFR 폐암 ORR 57%"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삼성바이오로직스, 바이오프로세스 인터내셔널 "참가"
큐로셀, 100억 규모 CB 발행 결정
GC녹십자 美자회사, 텍사스주 혈장센터 '개소'
씨어스, '부정맥 탐지 AI모델' 국제학술지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