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스펙테이터 박동영 기자
다케다(Takeda)가 KSQ 테라퓨틱스(KSQ Therapeutics)와 신규 타깃 기반 면역항암제 개발에 나선다. KSQ는 지난 13일(현지시간) 다케다와 면역항암제 연구, 개발, 상업화 등을 위한 전략적 협업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KSQ는 다케다에게 KSQ의 ‘CRISPRomics’ 플랫폼으로 발굴한 타깃의 개발, 생산, 상업화에 대한 전세계 독점 권리를 제공한다. 이 계약에는 KSQ가 발굴하고 검증한(Validated) T세포 타깃 2개 및 다케다와 공동연구를 통해 앞으로 개발할 NK세포 타깃 1개를 포함한다.
다케다는 KSQ에게 계약금과 전임상 마일스톤으로 최소 1억달러 이상 지급한다. 또한 다케다는 KSQ에게 옵션비, 개발, 상업화 마일스톤에 따라 타깃당 최소 4억달러 이상을 지급하며 판매에 따른 로열티도 지급한다. 특히 KSQ는 KSQ가 발굴하고 검증한 T세포 타깃 2개 중 1개에 대해서는 미국내에 한해 비용/수익 분배(Cost/Profit Sharing)에 참여할 수 있는 옵션도 받는다.
KSQ와 다케다는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위한 연구를 함께 진행하며 이후 다케다가 임상개발과 상업화를 맡는다.
로익 빈센트(Loïc Vincent) 다케다 항암제발굴 및 면역학부문 대표는 “CRISPRomics 플랫폼은 신규 타깃을 발굴하는데 적합한 기술이다”며 “T세포 및 NK세포 타깃을 발굴해 종양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내 항암 면역반응을 활성화하는 신약을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존 트르주펙(John Trzupek) KSQ 최고사업책임자는 “우리는 최근 리드프로그램의 비임상 연구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며 “이를 통해 CRISPRomics 플랫폼의 신규 항암제 타깃 발굴 능력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KSQ의 CRISPRomics는 CRISPR/Cas9을 기반으로 면역세포의 항암면역반응에 중요한 유전자를 스크리닝(Screening)해 발굴하는 플랫폼이다. CRISPRomics는 먼저 T세포, NK세포 등 면역세포에서 약 2만개 유전자의 발현을 하나씩 억제한다. 그 후 인비보(In Vivo) 쥐 모델을 이용해 종양미세환경 내에서 풍부하며(Enriched) 면역반응이 활성화된 면역세포와 관련 유전자를 찾아, 이를 타깃하는 항암제를 개발하는 전략이다.
KSQ의 리드프로그램은 KSQ가 임의로 명명한 CT-1의 발현이 억제된 유전자조작 종양침윤림프구(Engineered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 ‘KSQ-001’다. KSQ는 CRISPRomics 플랫폼을 이용해 T세포의 CT-1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는 경우 T세포의 증식(Expansion)과 항종양 효능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항암면역반응이 증가된 KSQ-001로 기존 면역항암제에 내성을 가진 암을 치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KSQ는 지난해 열린 키스톤 심포지아(Keystone Symposia)에서 KSQ-001의 전임상 결과를 발표했다. 결과를 보면, KSQ-001은 PD-1 저항성 유무에 상관없이 인비보 종양 쥐 모델에서 PD-1보다 높은 항종양 효과를 보였다. 또한 KSQ-001은 CT-1이 결핍되지 않은 T세포에 비해 TNFα, IFNγ 등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의 분비량이 더 높았다.
KSQ는 PD-1 불응성(Refractory)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KSQ-001의 임상1상을 위해 준비중이다.
▲*a: PD-1 저항성 유무에 상관없는 KSQ-001의 항종양 효과 *b: KSQ-001의 높은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능력(*2020 키스톤 심포지아 KSQ 테라퓨틱스 발표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