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넥타 테라퓨틱스(Nektar Therapeutics)가 고난 끝에 조절T세포(Treg)를 활성화시키는 기전의 IL-2 사이토카인 약물로 진행한 아토피피부염 임상2b상에서 성공을 거뒀다. 이번 소식 이후 나스닥 시장에서 넥타의 주가는 100% 이상 급등했다. 이번에 임상에 성공한 IL-2 약물인 ‘레즈펙(rezpeg, rezpegaldesleukin)’은 일라이릴리(Eli Lilly)가 지난 2017년 계약금 1억5000만달러를 투자하며 사들였던 에셋이다. 그러나 지난 2023년 2월 전신홍반루푸스(SLE) 임상2상에 실패했고 2달
왜 미국에서 신약이 개발되는 것일까? 그 힘의 기반은 정말로 신약을 개발하고 싶었던 의사, 과학자, 경영자와 같은 ‘사람’이 미국에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 책은 정말 신약을 개발하고 싶었던 의사이고, 과학자면서, 경영자였던 로이 바젤로스(P. Roy Vagelos)의 이야기이다. 왜 미국에서 신약이 나오는지를 물으면, ‘미국에는 신약을 개발할 수 있는 거대한 자본을 가진 제약기업이 있기 때문이다’라고 답이 돌아오고는 한다. 어떻게 미국 제약기업은 거대한 자본을 갖게 되었는지 물으면, ‘미국 제약기업은 엄청난 수익을 거둘 수 있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이 올해 하반기 임상1상 시작을 예정하고 있는, 비인크레틴(non-incretin) UCN2 유사체 ‘HM17321’이 영장류 시험에서 체중을 줄이면서 근육을 늘린 결과를 공개했다. 체중감량 질(weight loss quality, WLQ)을 개선하기 위한 접근법이다. 한미약품은 미국 시카고에서 지난 20일부터 23일(현지시간) 열린 미국 당뇨병학회(ADA 2025)에서 HM17321가 비만에서 단독투여 및 병용투여 치료제로서 차별성을 보여주는 연구결과와, 당뇨병으로 적응증 확장 가능
국내 바이오·제약기업 CEO의 36.7%가 2025~2026년 인력채용을 확대할 것이라고 답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초입 상황에서 바이오제약업계는 집중적인 관심을 받으면서 높은 밸류에이션을 인정받아 호황기를 누렸는데, 당시 2021년에 실시한 CEO 설문에서 인력채용 확대 응답은 65.3%에 달했다. 이후 2022년 37.7%로 급격하고 떨어졌으며, 2023년 29.6%까지 감소했고, 2024년에는 30.1%로 보합수준에서 머물렀다가 이번 설문에서 본격적으로 반등하는 모습을 보인 것이다. 채용을 축소하겠다는 답변도 2021년 5.5
후속 투자없이 회사운영이 가능한 기간이 1년미만이라고 설문에 답한 바이오제약 기업 CEO가 전체의 27.8%, 이 중 ‘6개월 이내’라고 답한 CEO는 6.3%에 달해 업계의 자금난 상황을 그대로 드러냈다. 설문에 참여한 바이오텍 중 비상장 기업만 따로 분석한 결과 ‘6개월 이내’ 10%, ‘6개월~1년 미만’ 25%로 총 35%의 비상장 바이오텍이 1년내 추가 자금을 조달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답했다. ‘1년~2년 미만’이라고 답한 CEO는 35%로 비상장 바이오텍의 70%가 후속 투자없이는 2년미만으로 유지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
사렙타 테라퓨틱스(Sarepta Therapeutics)가 3개월만에, 뒤센근이영양증(DMD) 유전자치료제 ‘엘레비디스(Elevidy)’ 투여에 따른 2번째 사망건을 지난 15일(현지시간) 보고했다. 앞서 올해 3월 발생한 환자 사망건과 동일하게 급성간부전(ALF)으로 인한 것이었고, 이번에도 보행불가능한(non-ambulatory) 환자에게서 발생했다. 지금까지 900명 이상이 엘레비디스를 투여받았고, 이 가운데 보행불가능한 환자는 140명이었다. 스스로 걸을 수 없는 환자로 일반적으로 질환이 진행된 고령 환자이다. 사렙타는 즉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지난 17일 새로운 우선심사제도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이같은 신규 우선심사제도는 FDA국장에 의한 국가 우선심사 바우처(Commissioner’s National Priority Voucher, CNPV)다. 마티 마카리(Marty Makary) FDA 국장은 “CNPV의 핵심은 임상의 최종 결과가 나오기 전에 신약허가신청서(NDA)를 선제출(pre-submit) 할 수 있고 허가검토 기간을 1~2개월로 단축할 수 있다는 것”이라며 “CNPV라는 이름에 맞게 ‘미국의 국가 보건 우선순위(U.S. nati
일라이릴리(Eli Lilly)가 파트너사 버브테라퓨틱스(Verve Therapeutics)가 임상에서 유전자편집 리드에셋의 부작용 이슈를 해결하자마자, 10억달러를 주고 인수하며 빠르게 낚아챘다. 리드 PCSK9 인비보(in vivo) 염기편집(base eitor) 프로그램 ‘VERVE-102’의 미국 임상3상 첫 환자 투여라는, 비교적 실현가능한 조건부가격청구권(CVR)까지 합하면 총 13억달러 규모의 딜이다. 기간은 딜이 완료된 시점에서 10년 이내이다. 릴리는 17일(현지시간) 고위험 심혈관 환자를 위한 단회(one-time
바이오엔텍(BioNTech)이 20여년의 오랜 경쟁사였던 큐어백(CureVac)을 12억5000만달러 규모에 인수한다. 이로써 큐어백은 한때 바이오엔텍과 모더나(Moderna)와 나란히 mRNA 바이오텍으로 꼽혔던 시절을 뒤로하고, 쓸쓸히 퇴장하게 된다. 큐어백과 바이오엔텍은 독일, 모더나는 미국에 기반을 둔 대표 mRNA 바이오텍이다. 큐어백은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초기부터 통해 백신개발 경쟁에 뛰어들었지만, 결정적인 갈림길로 인해 백신개발에 실패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바이오엔텍은 화이자와 파트너십을 맺어 코로나 백신 블록버
‘올해의 인물(Person of the year)’에 6년만에 첫 변화가 생겼다.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이 지난 2019년부터 1위를 지켜오고 있는 가운데, 새로운 인물로 바이오텍 영역에서 김용주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LigaChem Biosciences) 대표가 공동 1위로 치고 올라왔다. 다음으로 영향력 있는 인물로 2위 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ABL Bio) 대표, 3위 박순재 알테오젠(Alteogen) 대표가 나란히 선정됐다. 영향력이 있는 인물 순위는 지난해와 동일했으나, 업계내 바이오텍 CEO 리더십이 미치는 영향력이 확대되
2025년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CEO 79인이 선정한 ‘올해의 기업(Company of the Year)’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가 5년연속 1위로 선정됐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2021년 셀트리온(Celltrion)으로부터 1위를 넘겨받고 나서, 흔들림 없이 1위를 지키고 있다. 다만 영향력 있는 기업 탑5위 내에서 순위변동이 있었다. 이번 설문은 이전에는 없던 새로운 기조가 감지되기 시작했는데, 바로 바이오시밀러 및 CMO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삼성바이오와 셀트리온의 기업 영향력 확대이다.
김승호(93) 보령제약 창업주(회장)는 국산 블록버스터 혈압약 ‘카나브’를 어떻게 시작하게 됐냐는 질문에 잠시 생각에 잠기더니 전혀 다른 답을 내놨다. 김 회장은 “신약개발은 제약산업의 절대적인 과제다. 당연히 해야 한다”며 “제약사가 신약개발을 하지 않으면 발전을 못한다. 극단적으로 얘기하자면, 제약사로서 가치가 없다”고 말했다. 짧지만 강렬했다. 뒤통수를 한대 얻어맞은 기분이었다. 다시 정신을 가다듬고 카나브 개발과정에서 어려웠던 점을 물었다. 이번에 김승호 회장은 “굽이굽이 다 어렵죠”라면서 “(신약개발 과정에서 당연하게 거
제약·바이오 업계는 최근 몇년 가운데 가장 불확실성이 높은 시기를 보내고 있다. 사실상 VC의 바이오텍 투자는 멈췄고, 국내외 기업공개(IPO) 시장은 한참동안 얼어붙어 있었다. 2~3년 넘게 이어온 바이오텍의 구조조정(layoff)과 폐업 대열에 거의 모든 빅파마가 잇따라 구조조정에 합류했고,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리더십 개편 및 구조조정으로 규제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여기에 바이오텍의 동력인 글로벌 딜에서, 중국이라는 변수까지 더해졌다. 올해 3월말까지 빅파마의 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40%로 높아
네비게이터 메디슨(Navigator Medicines)이 국내 아이엠바이오로직스(IMBiologics)에서 OX40LxTNFα 이중항체 ‘NAV-240(IMB101)’의 아시아지역 이외 글로벌 독점권을 사들인지 1년만에, 임상1b상을 시작했다. 아이엠과의 라이선스 딜이 체결되고 두달후, 네비게이터는 RA캐피탈 메니즈먼트(RA Capital Management)와 포비온(Forbion) 공동리드하에 시리즈A로 1억달러를 유치하며 공식 출범했다. 이어 네비게이터는 올해 3월 미국 피부과학회(AAD 2025)에서 NAV-240의 ‘fir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이 비만에서 승부를 걸고 있는, 차세대 GLP/GIP/GCG 삼중작용제 미국 임상1상 데이터를 첫 공개한다. 한미약품은 오는 20일부터 23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 당뇨병학회(ADA 2025)에 참가해 차세대 삼중작용제 ‘LA-GLP/GIP/GCG(HM15275)’와 근육을 증가시키는 기전의 UCN2 유사체 ‘LA-UCN2(HM17321)’의 전임상 및 임상연구 결과 등 6건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10일 밝혔다. 두 약물 모두 반감기를 늘린(long-acting,
지난 5월 비상장 바이오기업은 단 한곳도 투자를 유치하지 못한 ‘제로(0) 투자’를 기록했다. 지난 2월에 이은 올해 두번째 제로(0) 투자다. 9일 바이오스펙테이터가 자체집계한 바이오기업 투자현황에 따르면 올해 2월 제로(0), 3월과 4월은 1곳씩 각각 120억원, 290억원 규모, 5월에는 다시 제로를 기록했다. 바이오스펙테이터가 자체집계를 진행한 7년여동안 연속 4개월 합산으로 최저의 실적으로, 현재 겪고있는 업계의 자금난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비상장 바이오기업의 투자유치는 2년 이상 상당히 저조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
리가켐, 첫 공개 '넥틴-4 ADC' ESMO서 "경쟁력 발표"
유한양행 "첫 적응증", 'IgE Trap' CSU 2상 "IND 승인"
에임드, 베링거에 '임상前' TOP1 ADC "9.9억弗 L/O"
머크, '키트루다SC vs IV' 2상 "65%가 피하주사 선호"
아이엠바이오, pre-IPO 422억 펀딩.."내년 상반기 IPO"
엑셀러지, 시리즈A 7천만弗.."MoA 강화" 차세대 IgE
카토그래피, 'LY6G6D TCE' 6700만弗.."LG·롯데 등 참여"
로슈-릴리, 'AD 혈액진단' 1차진료 진입 "FDA 승인"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아이젠사이언스, 박현선 부사장·박억 상무 영입
오름테라퓨틱, 'DAC 기술총괄'에 도린 토오더 박사 영입
[기고]'조용한 수호자' Treg 노벨상 "면역치료의 진화"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쓰리빌리언, ‘AI 희귀질환 진단’ 연구 4건 "美유전학회 발표"
IMBDx, '조직 비의존' 미세잔존암 액체생검 "ESMO 발표"
아이진, ‘수막구균 4가 백신’ 2상 환자투여 개시
지아이이노, 유한양행서 'IgE Trap' 마일스톤 55억 수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