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상치 못하게 일라이릴리(Eli Lilly)가 아밀린(amylin) 수용체 작용제 ‘엘로랄린타이드(eloralintide)’의 비만 임상2상에서 단독투여만으로 48주차에 최대 20.1%라는 체중감량 데이터를 공개하면서, 단숨에 아밀린에 대한 기대치를 다시 끌어올리고 있다. 일단 엘로랄린타이드는 기존 GLP-1 기반 인크레틴(incretin) 약물 대비 낮은 위장관(GI) 부작용 프로파일을 보이면서, 더 나은 내약성 프로파일을 보이고 있다. 대신 특이적으로 피로 부작용이 높게 보고됐다. 릴리는 6일(현지시간) 미국 비만학회(Obes
인사이트(Incyte)가 프렐류드 테라퓨틱스(Prelude Therapeutics)에 계약금 6000만달러를 지급하며, 전임상 단계에 있는 JAK2 V617F 변이형 저해제에 대한 옵션권리를 확보한다. 이번 딜로 인사이트는 차세대 JAK2 접근법인 V617F 저해제에 추가적인 투자에 나섰다. 인사이트는 이미 자체적인 JAK2 V617F 선택적 저해제의 임상1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에 후속 물질을 염두하고 프렐류드와 옵션딜을 체결한 것으로 보인다. 인사이트는 블록버스터 JAK 저해제인 ‘룩소리티닙(ruxolitinib)’을 혈액
일라이릴리(Eli Lilly)도 중추신경계(CNS)에서 RIPK1(receptor-interacting serine/threonine-protein kinase 1) 저해제 개발을 중단한다. 릴리가 4년전 리겔파마슈티컬(Rigel Pharmaceuticals)로부터 RIPK1 저해제를 사들이기 위해 계약금 1억2500만달러를 포함해 총 9억6000만달러 규모의 딜을 맺었던 계약의 일부이다. 당시 릴리는 임상1상을 마친 RIPK1 저해제의 권리를 확보하면서, 동시에 뇌질환을 타깃해 혈뇌장벽(BBB)을 투과하는 RIPK1 저해제를 개
아젤리아 테라퓨틱스(Azalea Therapeutics)는 지난 4일(현지시간) 시드와 시리즈A 투자로 총 8200만달러의 자금을 조달하며 공식출범을 알렸다. 아젤리아는 기존 인비보(in vivo) CAR-T보다 효능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타깃세포에 유전자를 정확히 전달하고 발현할 수 있도록 2가지 전달벡터를 동시에 사용하는 새로운 기전의 인비보 CAR-T 개발을 목표로 한다. 제니퍼 다우드나(Jennifer Doudna) UC 버클리대 교수와 해당 연구실의 제니 해밀턴(Jennie Hamilton) 박사 등이 지난 2023년
사렙타 테라퓨틱스(Sarepta Therapeutics)는 가속승인(accelerated approval)받아 몇년 전부터 시판중이었던 두가지 뒤센근이영양증(DMD) ASO 약물이 정식승인(traditional approval)을 위한 확증 3상에서 효과를 보이지 못하며 실패했다. 이같은 소식에 사렙타 주가는 하루만에 37% 급락했다. 사렙타는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지 못한 탑라인 결과에도 불구 정식승인을 신청할 계획이며, 올해 연말 미국 식품의약국(FDA)과의 논의를 진행하겠다는 방침이다. 참고로 사렙타가 시판하고 있는 모든 에
프렐류드 테라퓨틱스(Prelude Therapeutics)가 결국 남은 SMARCA2 합성치사(synthetic lethality) 프로그램까지 중단하며 개발에서 손을 뗐다. 프렐류드는 SMARCA2 합성치사 분야 선두에 있던 바이오텍으로, 표적단백질분해(TPD) 모달리티에 기반해 프로그램 개발을 진행해왔다. 그러나 지난 8월 정맥주사(IV) 제형의 SMARCA2 TPD 에셋의 개발을 중단했고, 이번에 남아있던 경구제형 TPD 약물까지 개발을 포기하게 됐다. 프렐류드의 이번 SMARCA2 TPD 개발중단과 함께 회사의 제인 황(J
유전성 망막질환(inherited retinal diseases, IRD)을 전문으로 개발하는 이탈리아 아방가르드(AAVantgarde)가 시리즈B로 1억4100만달러를 유치했다. 최근들어 안구질환을 타깃하는 유전자치료제에 대한 기업들의 딜이 일어났는데, 일라이릴리(Eli Lilly)는 지난달 24일 안구질환 유전자치료제를 전문으로 개발하는 애드베럼 바이오테크놀로지(Adverum Biotechnologies)를 계약금 7470만달러, 총 2억6000만달러에 인수한 바 있다. 오츠카 파마슈티컬(Otsuka Pharmaceutical
로슈(Roche)가 시판 CD20 항체 ‘가싸이바(Gazyva, Obinutuzumab)’로 진행한 전신홍반성루푸스(SLE) 임상3상에서 1차종결점을 달성한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앞서 로슈는 지난 2013년 11월 가싸이바를 만성림프구성백혈병(CLL)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시판허가를 받은 후, 2016년 2월 여포성림프종(FL)으로 적응증을 확대해 10년 넘게 혈액암 치료제로 시판해왔다. 더 나아가 로슈의 가싸이바는 지난달 표준치료(SoC)를 받고 있는 루푸스신염(LN) 성인 환자를 적응증으로 FDA의 승인을 받
뉴로크린 바이오사이언스(Neurocrine Biosciences)는 중국 트랜스테라 사이언스(TransThera Sciences)로부터 NLRP3 저해제를 총 8억8150만달러 규모로 사들였다. NLRP3 저해제는 면역복합체인 인플라마좀(inflammasome)에 관여해 염증반응을 낮추는 기전으로, 대사질환 및 염증성질환을 주로 타깃한다. 같은 기전의 경쟁약물로는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가 지난 2022년 9월 벤투스 테라퓨틱스(Ventus Therapeutics)로부터 사들인 NLRP3 저해제 ‘NNC6022-000
BMS(Bristol Myers Squibb)가 엑센티아(Exscientia)와의 AI신약개발 파트너십을 통해 발굴한 PKCθ 저해제의 개발을 중단했다. 해당 PKCθ 저해제인 ‘EXS4318’은 BMS와 엑센티아의 첫 파트너십 에셋으로, BMS가 지난 2021년 2000만달러의 옵션행사금을 엑센티아에 지급하며 도입했다. 이후 BMS는 지난 2023년 EXS4318의 자가면역질환 임상1상을 시작했다. BMS와 엑센티아의 관계는, 셀진(Celgene)과 엑센티아가 지난 2019년 체결한 파트너십에서 출발했다. BMS는 2019년 셀
다케다(Takeda)가 결국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와 공동개발을 진행해온 알파시누클레인(α-syn) 항체의 개발을 중단한다. 다케다는 지난 2017년 아스트라제네카와 4억달러 규모로 파트너십 딜을 체결해 α-syn 분야에 본격 진입했으나, 8년여만에 임상2상에서 고배를 마시며 프로그램 개발을 포기하게 됐다. 다케다는 해당 파트너십 α-syn 항체인 ‘TAK-341(MEDI1341)’을 파킨슨병(PD), 다계통위축증(MSA) 치료제로 개발을 시도해왔다. 다케다와 아스트라제네카는 TAK-341이 응집된 형태의 α-syn
GSK는 전립선암을 적응증으로 하는 전임상단계의 항체-약물접합체(ADC)를 총 3억5200만달러 규모로 사들였다. GSK는 이번 에셋의 확보를 통해, 지난해 12월 중국 한소파마(Hansoh Pharma)로부터 확보한 B7-H3 ADC를 기반으로 하는 자사의 전립선암 파이프라인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GSK는 지난달 27일(현지시간) 프랑스 바이오텍인 신디비아(Syndivia)로부터 전립선암 타깃 ADC를 라이선스인(L/I)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GSK는 해당 ADC 프로그램의 개발, 제조 및 전세계 상업화 권리
중국 레푸바이오파마(Lepu Biopharma)의 EGFR 항체-약물접합체(ADC)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비인두암(nasopharyngeal cancer, NPC) 3차이상 치료제로 승인을 받았다. 이번 승인으로 해당 약물은 중국에서 시판허가를 받은 첫번째 EGFR ADC가 됐다고 레푸는 강조했다. 참고로 세계 최초로 시판허가를 받은 EGFR ADC는 일본 라쿠텐 메디컬(Rakuten Medical)의 ‘아칼룩스(Akalux, cetuximab sarotalocan)’로, 지난 2020년 9월 일본 후생노동성
오츠카 파마슈티컬(Otsuka Pharmaceutical)은 4DMT(4D Molecular Therapeutics)의 단회투여하는 임상3상단계 안과질환 유전자치료제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권리를 계약금 8500만달러를 포함해 총 4억7000만달러 규모에 확보했다. 4DMT의 안과질환 유전자치료제 ‘4D-150’은 유리체내투여(intravitreal injection)를 통해 약물을 망막으로 전달할 수 있게 개발한 변이형(variant) R-100 AAV 캡시드를 기반으로 ‘아일리아(Eylea)’ 활성성분 애플리버셉트(afliberc
일라이릴리(Eli Lilly)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3분기 실적발표에서 아사히카세이 제약(Asahi Kasei Pharma)으로부터 사들인 비마약성(non-opioid) 진통제 후보물질 ‘LY3857210(AK1780)’의 개발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LY3857210은 임상2상 단계의 경구용 P2X7 수용체 길항제로, 수용체의 활성화를 저해해 통증신호의 전달을 억제하는 기전이다. P2X7 수용체는 ATP에 의해 열리는 이온채널로 염증과 통증신호를 전달한다고 알려져있다. 릴리는 지난 2021년 1월 아사히카세이에 계약금 200
로슈(Roche)는 최근 실패한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적응증에 대해 포기하지 않고, 이번에는 중국 바이오텍으로부터 전임상을 완료한 TSLPxIL-33 이중항체를 사들였다. 앞서 로슈는 지난 7월 ST2(IL-33R) 항체 ‘아스테골리맙(astegolimab, RG6149, AMG 282)’의 COPD 연간 악화비율을 1차종결점으로 설정한 후기임상 2건 중 하나에서만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며 혼재된 결과를 보인 바 있다. 로슈는 당초 올해 아스테골리맙의 승인신청을 할 계획이었지만, 이같은 결과를 확인하고 규제당국과 논의할 예정
[인사]삼양그룹, 정기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
머크, '사활' TROP2 ADC "블랙스톤서 7억弗 조달"
에이비엘 美자회사 '네옥' 공식출범..이중항체 ADC 공개
온코크로스, 복지부 주관 '전임상·임상 모델개발' 사업선정
프로티나, 'AI항체' 270억 국책과제.."2027년 10개 목표"
노보노, 항암·MASH 초기에셋 "중단"..주력분야 '베팅'
리가켐, 'B7H4 ADC' 고형암 1상 "고용량 코호트 추가"
인사이트, 프렐류드와 ‘JAK2 변이형’ 9.35억弗 옵션딜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일동생활건강, 박하영 신임 대표 선임
씨어스, 디지털 기반 "글로벌 의료격차 해소" 비전
[기고]『아웃포스트』, 신약개발 최전선을 기록하다
씨젠, 3분기 매출 1135억 "전년比 4.3%↑"
일동제약, 디앤디파마텍 5만3023주 전량 "매각 결정"
한미약품, 'AI 신약개발' 구축 "국책과제 연구기관 선정"
리스큐어, ‘LB-P8’ 희귀간질환 글로벌 2상 "환자투여"
동아 메타비아, ‘GLP-1/GCG’ 신규 전임상 “美학회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