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아에스티(Dong-A ST)는 인공지능(AI) 신약개발 기업인 크리스탈파이(XtalPi)와 면역 및 염증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크리스탈파이의 AI, 양자물리학, 자동화 로보틱스 기술이 융합된 신약개발 플랫폼을 기반으로 진행된다. 양사는 해당 플랫폼을 활용해 면역 및 염증 질환의 신규 타깃을 발굴하고 후보물질을 탐색할 계획이다. 크리스탈파이는 자사의 플랫폼을 바탕으로 △딥러닝 기반 분자설계 △약물-표적 상호작용 예측을 위한 양자물리학 및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 △자동화된
유한양행(Yuhan)은 길리어드 사이언스(Gilead Sciences)와 HIV 감염 에이즈 치료제의 원료의약품(API)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20일 공시했다. 총 842억7167억원(6083만달러) 규모로, 전년도 매출액의 4.08%에 해당한다. 계약기간은 오는 2026년 3월31일부터 2027년 2월26일까지다. 별도의 계약금은 없다. 판매 및 공급지역은 정해지지 않았다.
녹십자홀딩스(GC)의 미국 자회사인 메이드사이언티픽(Made Scientific)은 지난 13일(현지시간) 신규 GMP 제조시설을 개소하고 기념식을 개최했다고 20일 밝혔다. 앞서 메이드사이언티픽은 GC와 GC셀(GC Cell)이 지난 2022년 5월 공동출자로 인수한 미국 소재의 세포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이다. 신규 GMP 제조시설은 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턴에 위치해 있으며, 연면적 6만 제곱피트(약 5,570㎡) 규모이다. 메이드사이언티픽은 이번 시설 개소가 총 1200만달러 규모의 1단계 투자로, 시설 업그레이드와
GC녹십자그룹(GC Group) 자회사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유비케어(UBcare)는 온라인 의약품 유통 플랫폼 미소몰닷컴을 통해 글로벌 제약사 일라이 릴리(Eli Lilly)의 ‘마운자로(Mounjaro, tirzepatide)’공급을 시작했다고 20일 밝혔다. 마운자로는 현재 미소몰닷컴에서 출고가 진행 중이며 일부 플랫폼 대비 출고 시점을 한주 가까이 앞당겼다. 주문도 진행되고 있어 병·의원 고객들이 시중보다 신속하게 제품을 받아볼 수 있는 환경을 갖췄다. 미소몰닷컴은 이번 마운자로 출시를 기념해 비만 관련 비급여 주사제 특
뉴로핏(Neurophet)은 20일 싱가포르 국립대 및 싱가포르 종합병원(Singapore General Hospital)과 PET 영상 정량분석 소프트웨어 ‘뉴로핏 스케일 펫(Neurophet SCALE PET)’의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뉴로핏 스케일 펫은 PET 영상과 MRI를 활용해 방사성 추적자(PET tracer)로 표식된 바이오마커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소프트웨어다. 해당 소프트웨어는 알츠하이머병 바이오마커인 아밀로이드 베타 및 타우 단백질 등을 포함해 플루오로데옥시글루코스(FDG), 도파민 등 다양한 바이오마
샤페론(Shaperon)은 지난 18일 이사회를 열고 300억 규모의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의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샤페론은 신주 1610만주를 주당 1866원에 발행할 예정이다. 신주배정 기준일은 9월 18일이며, 오는 11월 3~4일 구주주청약, 11월 6~7일 일반공모 청약을 진행한다. 신주 상장예정일은 오는 11월 21일로, 대표주관사는 키움증권이다. 샤페론은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확보한 자금을 운영자금에 사용할 계획이다.
카나프테라퓨틱스(Kanaph Therapeutics)는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를 통과했다고 20일 밝혔다. 기술성 평가는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첫 관문으로, 한국거래소가 지정한 두 곳의 전문 평가기관에서 A등급과 BBB 등급 이상의 평가를 받아야 한다. 카나프테라퓨틱스는 내년 상반기 상장을 목표로 빠른 시일내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할 계획이다. 상장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 카나프테라퓨틱스는 인간 유전체 정보를 바탕으로 미충족 의료수요가 있는 타깃을 발굴해, 차별화된 약물 융합 기술을 적용한 신약을 개발하고 있
올릭스(OliX Pharmaceuticals)는 19일 이사회를 열고 1150억원 규모의 전환우선주(CPS)를 발행하는 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결정으로 발행되는 전환우선주는 197만9347주이며, 주당 전환가액은 5만8101원이다. 납입일은 오는 28일이며, 1년간 전량 보호예수하는 조건이다. 이번에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KB인베스트먼트, 키움인베스트먼트, 아주IB투자, IMM인베스트먼트, 컴퍼니케이파트너스, 솔리더스인베스트먼트 등이다. 올릭스는 이번에 조달한 자금을 RNAi 기술 기반 치료제 연
에이치이엠파마(HEM Pharma)는 조혈모세포이식(HSCT) 환자의 장내 미생물군과 대사체를 정밀분석해, 이식 후 발생가능한 면역합병증을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메드컴(MedComm, IF: 10.7)’에 게재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건국대 의대 김주원 교수팀, 울산대병원 조재철 교수팀과 함께 수행한 산학공동연구 성과이다. 에이치이엠파마 연구소의 이효진, 심인선 연구원, 서동호 센터장, 정은성 연구소장 등도 이번 연구에 참여해 미생물, 대사체 연계분석 및 임상 예후도출에 기여했다. 해당 연구는
온코닉테라퓨틱스(Onconic Therapeutics)는 중국 파트너사인 리브존제약(Livzon Pharmaceutical Group)에 개발 마일스톤 500만달러(약 70억원)를 청구했다고 19일 공시했다. 해당 마일스톤은 리브존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자스타프라잔(zastaprazan, 국내제품명: 자큐보)'의 중국 임상3상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에 허가신청서를 제출한 데 따른 것이다. 회사에 따르면 이번 마일스톤이 글로벌 진출과정에서 수취한 개발 마일스톤 가운데 단일규모로는 가장
동아에스티(Dong-A ST)는 19일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텔라라(STELARA, 성분명: 우스테키누맙)’의 바이오시밀러 ‘이뮬도사(IMULDOSA)’를 파트너사인 다국적 제약사 인타스(Intas Pharmaceuticals) 및 어코드 바이오파마(Accord Biopharma)를 통해 미국에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뮬도사는 지난 2013년부터 동아쏘시오홀딩스와 메이지세이카파마(Meiji Seika Pharma)가 공동개발을 시작했으며, 지난 2020년 효율적인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동아에스티로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이전했다.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아큐민(Akumin)과 3차원(3D) 기반 AI 유방암 진단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DBT'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아큐민은 미국 플로리다주 플랜테이션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미국 전역에서 영상진단이나 암 치료 서비스를 자체 구축하기 어려운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아웃소싱 형태로 관련 영상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현재 미국 47개 주에서 150여개의 이미징센터와 다수의 이동형 의료 영상 장비를 보유 중이며 1000개 이상의 의료기관 및 의사 그룹과 파트너십을 맺고
차바이오텍(CHA Biotech)이 싸토리우스코리아바이오텍(Sartorius Korea Biotech)과 중간엽 줄기세포 플랫폼 구축 및 50L 이상 3D 자동화 대량생산 공정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글로벌 기준의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과 상업화에 필수적인 대량생산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글로벌 수준의 줄기세포주 플랫폼 구축 ▲50L 이상의 3D 대량생산을 위한 공정 자동화 ▲규격화 및 고도화된 생산공정 공동개발 ▲치료유전자가 도입된 차세대 기능강화 줄기세포 치료제의 대량생산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의 이상지질혈증 치료 복합신약 ‘로수젯(Rosuzet, rosuvastatin/ezetimibe)’이 염증성 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을 동반한 이상지질혈증 환자에게도 LDL-C 감소 효과와 양호한 안전성을 보이며 초기 치료에서 병용요법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국내 4개 대학병원이 공동으로 수행한 다기관, 오픈라벨 임상시험으로,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RA) 또는 골관절염(osteoarthritis, OA) 진단을 받은 환자 총 281명이 등록됐
온코닉테라퓨틱스(Onconic Therapeutics)는 진행성/전이성 췌장암을 대상으로 개발중인 차세대 합성치사 PARP/TNKS 이중타깃 저해 항암신약 후보물질인 ‘네수파립’의 임상2상을 시작하기 위한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했다고 18일 밝혔다. 네수파립은 PARP(poly ADP-ribose polymerase)와 탄키라제(tankyrase, TNKS)를 동시에 저해하는 이중기전의 항암신약 후보물질로, 온코닉테라퓨틱스에 따르면 자체개발한 퍼스트인클래스(first-in-class) 혁신신약이다. 온코닉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이 중증호중구감소증 G-CSF 신약 ‘롤론티스(미국 제품명 롤베돈, eflapegrastim)’의 환자 맞춤형 투여방식을 적용한 신규 제형을 내년 상반기 발매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 한미약품은 기존 프리필드시린지 피하주사제 롤론티스를 자가투여 편의성을 높인 오토인젝터(auto-injector, AI) 제형으로 개발해 식품의약품안전처(MFDS)에 허가신청서(NDA)를 제출했으며 검토중에 있다고 18일 밝혔다. 구체적인 서류 제출시점은 공개하지 않았다. 중증호중구감소증 치료제는 화학항암제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 "결정"
박순재 알테오젠 "1개월 플랫폼 개발..2027년 비만임상"
BMS, 'PRMT5 저해제' 새 단서? "EGFR 폐암 ORR 57%"
보로노이, 'RIPK1 저해제' 美앤비아서 옵션행사 "양도"
큐로셀, 100억 규모 CB 발행 결정
이노퓨틱스, 'AAV' 파킨슨병 "국내 1상 IND 승인"
메이즈, ‘SLC6A19 저해제’ PKU 1상 "긍정적"..주가 급등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지아이이노, CD80-IL2+마이크로바이옴 "항노화 임상"
마티카바이오랩스, 사이알바이오와 CDMO 계약
앱클론, '네스페셀' 식약처 개발단계 희귀의약품 지정
삼성바이오로직스, 바이오프로세스 인터내셔널 "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