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근당(Chong Kun Dang Pharmaceutical)은 신약개발 자회사 아첼라(Archela)를 설립하고 창립식을 가졌다고 22일 밝혔다. 아첼라는 개발에만 집중하는 NRDO(No Research Development Only) 형태의 회사로 운영되며, 신규 파이프라인 발굴, 임상진행, 기술수출 및 상용화 등을 추진하게 된다. 아첼라 대표에는 종근당 연구소 출신의 이주희 박사가 임명됐다. 이 대표는 서울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서울의대 삼성암연구소, 미국 메모리얼 슬론 케터링 암센터(MSKCC)의 박사후과정을 거쳐 종
동아에스티(Dong-A ST)는 22일 서울시 동대문구 용두동 본사에서 서울대 첨단융합학부와 인공지능(AI) 신약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AI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신약개발 가속화를 목표로, 동아에스티의 임상 데이터 및 신약개발 역량과 서울대 첨단융합학부의 AI 원천기술을 결합한 공동연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추진했다. 두 기관은 △AI 기반 신약개발 △연구데이터 디지털전환 관련 공동연구에 협력한다. 또한 이번 협약을 계기로 서울대 석박사 과정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해 차세대 AI신약개발 인재를 양성하고 중장
동아에스티의 ADC 전문 자회사인 앱티스(AbTis)는 22일 제이투에이치바이오텍(J2H Biotech)와 first-in-class 항체-약물접합체(ADC) 후보물질 공동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앱티스의 ‘AbClick®’ 항체 접합기술과 제이투에이치바이오텍의 ‘OPTIFLEX®’ 페이로드(payload) 플랫폼을 결합해 경쟁력을 갖춘 차세대 ADC 신약을 개발하기 위한 목표로, 두 회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전략적 협력관계를 구축했다. 이번 연구에서 제이투에이치바이오텍은 OPTIFLEX® 플랫폼을 활용
에스티팜(ST Pharm)은 이번달 19일부터 22일까지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열린 IDWeek(Infectious Diseases Week 2025) 학회에서 HIV-1(human immunodeficiency virus-1) 치료제 후보물질 ‘피르미테그라비르(pirmitegravir, STP0404)’의 임상2a상 중간분석 결과를 구두발표했다고 21일 밝혔다. IDWeek는 감염병 분야의 최신연구와 임상실무가 집중적으로 논의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감염병 학회다. 피르미테그라비르는 알로스테릭 인테그라제 저해제(alloste
피노바이오(Pinotbio)는 오는 22일부터 26일(현지시간)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AACR-NCI-EORTC 2025’에서 ITGB6 항체-약물접합체(ADC) 후보물질인 ‘PBX-004’의 전임상 연구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한다고 21일 밝혔다. AACR-NCI-EORTC 2025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미국 국립암연구소(NCI), 유럽암연구치료기구(EORTC)가 공동주최하는 암치료제 연구개발학회이다. 피노바이오가 발표할 PBX-004는 ITGB6 단백질을 타깃하는 ADC 후보물질이다. ITGB6는 정상세포에서는 거의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ABL Bio)는 내달 3일부터 6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고에서 개최되는 월드ADC 샌디에이고(World ADC San Diego 2025)에 참석해 이중항체 ADC 개발 전략을 소개한다고 21일 밝혔다. 월드ADC는 글로벌에서 가장 큰 규모의 항체-약물접합체(ADC)에 특화된 심포지엄이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이번 월드ADC에서 이중항체 ADC가 2가지 다른 암항원을 표적하면서 기존 단일클론항체 ADC 대비 안전성과 효능을 개선하는 전략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에이비엘바이오는 4일
지놈앤컴퍼니(Genome & Company)는 오는 11월3일부터 6일까지 미국 샌디에고에서 열리는 월드ADC(World ADC San Diego 2025)에 참가해 신규타깃 항체-약물접합체(ADC) 후보물질 ‘GENA-120’의 비임상 주요 데이터를 최초로 공개한다고 밝혔다. GENA-120은 자체플랫폼 ‘GNOCLE™’을 통해 발굴한 신규 타깃인 GICP-120을 표적으로 하는 ADC이다. GENA-120은 토포이소머라제1(TOP1) 저해제 페이로드를 이용했다. 회사는 이번 컨퍼런스에서 △GICP-120의 두경부암, 자궁경부암
큐로셀(Curocell)은 성인 급성림프구성 백혈병(ALL) 환자를 대상으로 CD19 CAR-T 후보물질 ‘안발셀(anbal-cel, CRC01)’의 임상2상 시험계획서(IND)를 승인받았다고 21일 밝혔다. 큐로셀은 지난 8월 해당 적응증에 대해 IND 변경승인 신청서를 제출한 바 있다. 큐로셀은 임상1상에서 확인된 안전성, 초기 효능, 최적용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임상2상 설계를 확정했고, 대상범위를 확대하고, 유효성 평가항목, 평가방법 등이 구체적으로 반영됐다. 주요 효능 지표는 완전관해 비율(overall complete r
삼성바이오에피스(Samsung Bioepis)는 21일 중국 바이오텍인 프론트라인 바이오파마(Phrontline Biopharma)와 항체-약물접합체(ADC) 후보물질 개발 및 제조, 상업화를 위한 공동연구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향후 프론트라인에 계약금 및 마일스톤을 지급할 예정이다. 기타 구체적인 계약내용 및 규모는 양사의 합의를 통해 공개하지 않았다. 프론트라인은 이중항체-이중페이로드(bispecific and dual-payload) ADC 기술을 개발하는 바이오텍이다. 삼성바이오
셀트리온(Celltrion)은 연결 기준으로 올해 3분기에 매출액 1조260억원, 영업이익 3010억원의 잠정실적을 기록했다고 21일 공시했다.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은 16.3%, 영업이익은 44.9% 증가해, 역대 최대 3분기 매출 및 역대 최대 분기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영업이익률도 29.3%를 기록했다. 이같은 실적의 배경에는 글로벌 전역에 걸쳐 주요 제품 판매가 안정적으로 이뤄진 가운데 수익성 좋은 신규 제품들의 판매가 확대된 결과로 회사측은 분석했다. 회사에 따르면 ‘램시마SC’(성분명: 인플릭시맙, 피하주사제형)를 비롯
부광약품(Bukwang Pharmaceutical) 자회사인 콘테라파마(Contera Pharma)는 덴마크 룬드벡(Lundbeck)과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 기반 약물을 발굴하는 계약을 맺었다고 20일 밝혔다. 콘테라파마는 지난 2010년 설립된 덴마크 소재 바이오텍으로, 부광약품이 지난 2014년 100% 자회사로 편입했으며 올해 기준으로 지분 99.33%을 보유하고 있다. 룬드벡은 심각한 신경계질환(serious neurological conditions)에 대한 약물을 발굴하고 최적화할 계획이며,
HLB는 미국 자회사 엘레바 테라퓨틱스(Elevar Therapeutics)가 지난 17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개막한 유럽종양학회(ESMO 2025)에서 ‘리보세라닙(rivoceranib)’과 ‘캄렐리주맙(camrelizumab)’ 병용요법으로 진행한 CARES-310 글로벌 간암 임상3상의 사후분석 결과를 비롯해, 총 7건의 리보세라닙 기반 임상연구를 공개했다고 20일 밝혔다. 간세포암(HCC) 세션에서 진행한 포스터 발표에서는 크리스틴 라이언(Kristin Ryan) 엘레바 전무가 발표자로 나섰다. 발표에 따르면 VEG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다음달 5일부터 9일(현지시간)까지 미국 메릴랜드에서 개최되는미국 면역항암학회(SITC 2025)에서 AI 바이오마커 플랫폼 '루닛스코프'를 활용한 연구결과 2건을 발표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SITC에서 루닛은 포스터발표로 글로벌 CRO(임상시험수탁기관)인 셀카르타(CellCarta)와의 협업 연구인 ▲ AI 기반 종양미세환경 분석을 통한 비소세포폐암, 대장암, 요로상피암의 면역표현형 식별 연구 ▲AI 기반 정량적 면역조직염색(IHC) 분석을 통한 종양관련항원과 림프구 간 공간적
HER2 항체-약물접합체(ADC) 후발주자로서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LigaChem Biosciences)의 경쟁력을 가늠해볼 수 있는 글로벌 임상1상 결과가 도출되기 시작하고 있다. 현재 글로벌 HER2 ADC 경쟁이 토포이소머라아제1(TOP1) 저해제 페이로드(payload)에 치중돼 있는 반면, 리가켐바이오의 ‘LCB14(IKS014)’는 MMAF 페이로드가 적용됐다는 점이 다르다. 리가켐바이오는 HER2 ADC 블록버스터 ‘엔허투(Enhertu, T-DXd)’ 불응성 환자를 타깃해 LCB14를 개발하고 있다. 첫 공개된 임
업테라(Uppthera)는 20일 PLK1 타깃 표적단백질분해(TPD) 약물 후보물질 ‘UP1002’의 소세포폐암(SCLC) 대상 미국 임상1/2a상 임상시험계획(IND)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IND 승인은 PLK1을 타깃으로 하는 TPD 약물로는 글로벌 최초의 임상진입 사례라고 업테라는 강조했다. 업테라는 내년 국내에서도 IND 승인절차를 진행해 UP1002의 글로벌 임상시험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에 FDA 승인을 받은 임상1/2a상은 복합 디자인으로, 초기 용량증량(dose esc
JW중외제약(JW Pharmaceutical)은 A형 혈우병 치료제 ‘헴리브라(Hemlibra, emicizumab)’가 세계보건기구(WHO)의 필수의약품목록(EML)과 소아용 필수의약품목록(EMLc) 2025년 개정판에 새롭게 등재됐다고 20일 밝혔다. 헴리브라는 로슈(Roche)의 자회사인 일본 주가이제약(Chugai Pharmaceuticals)이 개발한 블록버스터 A형 혈우병 치료제다. JW중외제약은 지난 2017년 헴리브라의 국내 개발 및 판권을 확보하고 지난 2019년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받았다. 헴리브라는
[인사]삼양그룹, 정기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
온코크로스, 복지부 주관 '전임상·임상 모델개발' 사업선정
에이비엘 美자회사 '네옥' 공식출범..이중항체 ADC 공개
프로티나, 'AI항체' 270억 국책과제.."2027년 10개 목표"
유니큐어, ‘AAV’ FDA 입장 돌변..“허가신청 불투명”
암젠 "희망 불씨", 'FGFR2b' 병용 3상 "효능부족" 중단
사렙타, DMD '가속승인' 엑손스키핑 ASO "3상 실패"
프렐류드, ‘SMARCA2 TPD’ 1상 “또” 중단..CMO 사임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일동생활건강, 박하영 신임 대표 선임
씨어스, 디지털 기반 "글로벌 의료격차 해소" 비전
[기고]『아웃포스트』, 신약개발 최전선을 기록하다
GC녹십자, ‘혈우병 관절병증 예측AI’ 개발 착수
캅스바이오, 큐베스트와 '신약개발' 전주기 협력 MOU
리가켐, 'World ADC Awards' 2개부문 동시 수상
루닛, 볼파라와 '하나의 Lunit' 브랜드로 "대통합"
삼양그룹, 삼양 이노베이션 'R&D 페어 2025’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