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령(BORYUNG)은 27일 한국암연구재단과 함께 제24회 보령암학술상 수상자로 라선영 연세대 의대 교수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제24회 보령암학술상 시상식은 서울대병원 암연구소에서 진행되며, 수상자인 라선영 교수에게는 상금 3000만원과 상패가 수여된다. 보령암학술상은 국민보건 향상을 위해 암퇴치 연구에 헌신하고 있는 연구자들을 격려하고 지원하기 위해 한국암연구재단과 보령이 2002년 공동 제정한 상이다. 지난 23년동안 혁신적인 연구성과들을 발굴하고 암 연구에 대한 대내외 관심을 높여왔다. 수상자는 종양학 연구에 5년 이상 종
한독(HANDOK)과 비엔제이바이오파마(BNJ Biopharma)가 공동개발중인 KRAS G12D 타깃 표적단백질분해(TPD) 약물의 전임상 결과를 공개했다. 한독과 비엔제이는 파트너십을 통해 TPD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으며, 지난해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4) 발표를 통해 리드 파트너십 에셋인 차세대 EGFR TPD를 공개한 바 있다. 그리고 지난 4월 열린 AACR 학회에서 후속 프로그램으로 개발중인 KRAS TPD 에셋을 추가로 공개한 것이다. 두 회사는 아직 시판허가된 약물이 없는 KRAS G12D 변이형을 타깃하
글로벌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최근 몇년째 가장 큰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는 동력은 단연 ‘중국’으로, 거의 매일 아침마다 중국 바이오에 대한 뉴스를 접하고 있다. 이는 수치적으로도 다가오고 있는데, 올해 1분기 글로벌 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42%까지 확대됐다. 중국 딜 움직임이 시작되지 않았던 지난 2022년 5%와 비교하면, 무서운 속도이다. 이에 따라 미국의회 자문기관인 신흥 바이오기술 국가안보위원회(NSCEB)에서조차 생명과학 분야의 우위를 중국에 뺏길 우려가 있고,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3년내 선제적으로 대응할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LigaChem Biosciences)는 오는 7월1일 여의도에서 'LigaChemBio Global R&D DAY 2025'를 개최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오전 9시30분부터 오후 3시50분까지 진행되며, 리가켐바이오의 연구개발 현황과 중장기 전략을 투자자, 애널리스트, 언론 등 주요 이해관계자들과 공유하고, 회사가 보유한 항체-약물 접합체(ADC) 분야의 글로벌 선도 기술력과 사업 비전을 선보이는 자리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행사는 국내외 투자자 및 ADC 전문가들을 위해 유튜브를 통한 국문·영
메드팩토(Medpacto)는 26일 ALK5(TGF-βR1) 저해제 ‘백토서팁(vactosertib)’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골육종(osteosarcoma) 환자에 대한 치료목적 사용승인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치료목적 사용승인은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 환자가 다른 치료수단이 없는 경우, 아직 시판허가를 받지 않은 임상시험용 의약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이번 치료목적 사용승인은 세브란스병원 두개저내신경센터의 요청에 따라 이뤄진 것으로, 골육종을 앓고 있는 30대 남성 환자에게 백토서팁이 공급됐다. 백토서팁의 골육종 대상
레볼루션 메디슨(Revolution Medicines)이 로열티파마(Royalty Pharma)로부터 총 20억달러 규모의 자금을 조달하게 된다. 이번 자금조달로 레볼루션은 다른 빅파마 등 외부 파트너가 없이도 막바지 임상3상 단계에 들어선 pan-KRAS(ON) 저해제 ‘다락손라십(daraxonrasib, RMC-6236)’를 상업화까지 추진할 수 있는 자금을 확보했다. 특히 이번 자금조달 방식은 자금의 사용이 자유로운 유동적인 펀딩(flexible funding)으로 레볼루션은 임상개발, 사업확장 등 필요에 맞게 리소스를 할당
비원메디슨(BeOne Medicines, 구 베이진)의 한국법인 베이진코리아(BeiGene Korea)는 26일 PD-1 항체 ‘테빔브라(Tevimbra, tislelizumab)’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위암, 식도암, 비소세포폐암에서 추가 적응증을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추가승인으로 테빔브라는 5개 적응증에 대해 1차 또는 2차 치료요법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확대된 적응증은 위암에서 △절제 불가능,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HER-2 음성 위 및 위식도접합부선암(G/GEJ)의 1차치료제로 백금 및 플루오로피리미딘(flu
대웅제약(DAEWOONG)은 씨어스테크놀로지(Seers Technology), 퍼즐에이아이(PuzzleAI)와 함께 생성형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한 스마트병원 솔루션 공동개발 및 확산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업무협약식은 지난 25일 대웅제약 본사에서 진행됐다. 협약에 따라 퍼즐에이아이는 음성인식 기반 전자의무기록(EMR) 자동화 솔루션인 ‘젠노트(GenNote)’를 제공하고, 생성형AI 기술을 통해 병동, 외래, 수술실, 중환자실 등 다양한 의료환경에 최적화된 진료기록 시스템을 구현할 계획이
희귀난치성질환 연구개발 전문기업인 티움바이오(TiumBio)는 오는 29일부터 내달 2일까지(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되는 유럽생식의학회(ESHRE 2025)에 참가해 자궁내막증 및 자궁근종 치료제 후보물질 ‘메리골릭스(merigolix, TU2670)’의 임상 데이터 등을 발표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발표에서는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GnRH) 길항제인 메리골릭스의 자궁내막증 유럽 임상2a상 연구결과가 발표되며, 발표는 해당 임상 연구책임자인 크시슈토프 쉬마노프(Krzystof Szymanowski) 박사가 구두로 진행
동아에스티(Dong-A ST)는 손발톱무좀 치료제 ‘주블리아(Jublia, efinaconazole)’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용법, 용량 변경허가를 받아 투여대상 연령이 만 6세 이상 소아까지 확대됐다고 26일 밝혔다. 국내 전문의약품 손발톱무좀 치료제 중 소아연령군 투여허가는 주블리아가 최초라고 회사는 강조했다. 주블리아는 일본의 카켄 파마슈티컬(Kaken Pharmaceutical)이 개발한 약물로, 동아에스티가 지난 2016년 국내 판권을 들여왔다. 동아에스티는 미국에서 진행된 주블리아의 소아 임상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이번
항체 신약 개발 전문 바이오텍 노벨티노빌리티(Novelty Nobility)는 한국거래소에 제출한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청구를 자진 철회했다고 26일 밝혔다. 노벨티노빌리티는 지난해 7월 코스닥 상장을 위한 기술성평가에서 한국거래소가 지정한 전문평가기관 2곳으로부터 각각 A, A 등급을 획득해 기술특례상장 요건을 충족해 올해 1월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했었다. 하지만 5개월만에 이를 철회하게 된 것이다. 이번 결정에는 회사의 가장 앞선 파이프라인 c-Kit 항체 ‘NN2802’의 기술 반환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NN28
넥타 테라퓨틱스(Nektar Therapeutics)가 고난 끝에 조절T세포(Treg)를 활성화시키는 기전의 IL-2 사이토카인 약물로 진행한 아토피피부염 임상2b상에서 성공을 거뒀다. 이번 소식 이후 나스닥 시장에서 넥타의 주가는 100% 이상 급등했다. 이번에 임상에 성공한 IL-2 약물인 ‘레즈펙(rezpeg, rezpegaldesleukin)’은 일라이릴리(Eli Lilly)가 지난 2017년 계약금 1억5000만달러를 투자하며 사들였던 에셋이다. 그러나 지난 2023년 2월 전신홍반루푸스(SLE) 임상2상에 실패했고 2달
셀트리온(Celltrion)은 이사회를 통해 1000억원 규모의 추가 자사주 매입을 결정했다고 26일 밝혔다. 오는 27일부터 장내매수 방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건을 포함하면 셀트리온은 올해 7차례에 걸쳐 6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진행했다. 또한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지주사인 셀트리온홀딩스, 그룹내 계열사인 셀트리온스킨큐어 등은 올해 4월 각각 500억원, 1000억원, 500억원 규모의 주식취득을 결정했으며 임직원도 약 400억원 규모의 우리사주 매입에 동참한 바 있다. 또한 셀트리온은 올해 약 9000억원 규
리부스 파마슈티컬(Rivus Pharmaceuticals)은 지난 24일(현지시간) 대사이상관련 지방간염(MASH) 2상에서 대사가속화 기전의 후보물질 ‘HU6’가 환자의 간지방(liver fat)을 감소시킨 긍정적인 결과를 발표했다. HU6는 미토콘드리아 분리제(mitochondria uncoupling agent)로 미토콘드리아 막간공간(intermembrane space)의 수소이온을 밖으로 운반해 에너지소비를 높이는 기전이다. 회사는 HU6가 CMA(controlled metabolic accelerator) 기전의 약물이
유한양행(Yuhan)은 개인용 혈당측정기 신제품인 ‘유한당체크’를 국내 시장에 공식 출시한다고 25일 밝혔다. 해당 제품은 국내 의료기기 전문 제조업체 오상헬스케어가 개발하고, 유한양행이 판매한다. 유한당체크는 개인 건강관리의 핵심 기기인 혈당측정기의 편의성을 구현한 제품이다. 사용자 친화적인 디자인, 직관적인 인디케이터 기능, 2.5인치의 넓은 디스플레이 등 강점을 갖췄으며, 혈당 측정 결과를 컬러 인디케이터로 직관적으로 표시해 고령자나 기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손쉽게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로슈(Roche)가 CD20xCD3 이중항체 ’룬수미오(Lunsumio, mosunetuzumab)‘와 CD79b 항체-약물접합체(ADC) ‘폴라이비(Polivy, polatuzumab vedotin)‘ 병용요법으로 거대B세포림프종(LBCL) 2차치료제 세팅 임상3상에서 무진행생존기간(PFS)을 59% 개선한 긍정적인 결과를 내놨다. 로슈는 지난 20일(현지시간) 스위스 루가노에서 열린 국제림프종학회(ICML 2025)에서 이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SUNMO 임상3상은 자가조혈모세포 이식(autologous stem cell
조병철 대표, '리가켐 L/O' CEACAM5 4가지 "한계 극복"
루닛, 마이크로소프트와 ‘의료AI 솔루션’ 공동개발
에이비엘, 'CLDN18.2x4-1BB' 단독 1상 ORR 18% "개선"
장명호 지아이이노베이션 대표, 5억 규모 장내매수
브릿지바이오, 최대주주 변경.."이정규 外 임원 사임"
리가켐 "next 키워드 IO", 'STING' 3가지 다른 전략은?
6월 비상장 바이오투자, 3곳 681억.."기조전환 기대"
사노피, ‘마스킹’ 파트너 中아다진에 “2500만弗 SI투자”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오스코텍, KB·미래에셋 출신 신동준 신임 CFO 선임
[인사]일동제약, 임원승진 인사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셀트리온홀딩스, 셀트리온 주식 5000억 매입 "결정"
퍼스트바이오, 중기부 '글로벌 협업 프로그램' 선정
셀트리온, '코로나19 진단키트' 휴마시스와 소송 1심 선고
유바이오로직스, 서울 식약청장 "제2춘천공장 방문"
이엔셀, KRIBB과 57억 규모 ‘AAV CDMO’ 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