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듬 파마슈티컬(Rhythm Pharmaceuticals)은 지난 9일(현지시간) 경구용 MC4R 작용제(Melanocortin-4 receptor agonist) ’비바멜라곤(bivamelagon, LB54640)’으로 진행한 희귀비만증 임상2상에서 체질량지수(BMI)를 줄인 긍정적인 결과를 발표했다. 비바멜라곤은 지난해 1월 리듬이 LG화학(LG Chem)으로부터 계약금 1억달러를 ...
노바티스(Novartis)가 중국 기반 글로벌 바이오텍 시로낙스(Sironax)로부터 ...
미국 머크(MSD)가 영국의 베로나파마(Verona Pharma)를 100억달러에 전격...
아이비스바이오(Aevis Bio)는 삼중음성유방암(TNBC)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P...
인공지능(AI) 신약개발 리커전(Recursion)이 랠리바이오(RallyBio)와 공...
HLB제약, 중앙연구소장에 강성권 박사 선임
에이비엘, 인투셀 'TOP1 ADC' 계약해지.."특허이슈"
퓨쳐켐, ‘전립선암 진단’ 방사성 국내 3상 “최종결과”
브릿지바이오. '파라택시스 코리아'로 사명변경
종근당바이오, '보툴리눔 톡신' 국내 임상3상 결과공개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가 인비보(in vivo) CAR-T 회사를 아예 사들인 이유가 있었다. 아스트라제네카가 불과 4개월전 단일환자 데이터를 보고 총 10억달러를 베팅해 인수한 자회사 에소바이오텍(EsoBiotec)이 BCMA 타깃 인비보 CAR-T ‘ESO-T01’의 추가 데이터를 공개했다. ESO-T01 투여한 다발성골수종(MM) 환자 4명 모두에게서 부분반응(partial response, PR) 이상을 확인했고, 특히 먼저 투여받은 환자 2명은 완전반응(complete response, CR)으로 병변이 사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LigaChem Biosciences)가 HER2 항체-약물접합체(ADC) 후발주자로서 ‘LCB14(IKS014, FS-1502; caxmotabart entudotin)’의 개발 전략을 뒷받침하기 위한 초기 미국 임상1상 결과가 도출되기 시작했다. 지금까지는 파트너사 포순파마(Fosun Pharma)가 진행하는 중국 임상 결과만 있었고, 현재 중국 임상3상을 진행하고 있다. 초기 결과로 이전 ‘엔허투(Enhertu, T-DXd)’를 투여받았던 환자 5명에게 LCB14 중간용량(90mg/m^2) 이상 투여시 4
“지금 기회를 놓치면 영원히 못 따라갑니다.” 김용주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LigaChem Biosciences) 대표가 정부에 바라는 일침이며, 바로 지금이 정부가 바이오 분야에 과감한 투자를 단행해야 할 때라는 것이다. 중국 정부는 지난 20여년간 생명공학 분야를 전략적 우선순위로 삼고 과감한 투자를 진행해왔다. 그 결과가 최근 3~4년간 가시화되고 있고, 올해 들어서면서 글로벌 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40%까지 확대됐다(1분기 기준). 미국 바이오가 중국에 추격 당할 것이라는 우려가 심심치 않게 나온다. 리가켐바이오는
퓨쳐켐(FutureChem)은 10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전립선암 진단용 방사성의약품 후보물질 ‘[18F]플로라스타민([18F]florastamin, FC303)’의 신약허가를 신청했다고 공시했다. 적응증은 △확증적 치료가 필요한 초기 전립선암 환자에서 전이가 의심되는 경우 △전립선암 치료후 국소적인 재발 또는 진행성 재발이 의심되는 경우 등 2가지다. 퓨쳐켐은 지난 9일 FC303으로 진행한 2건의 임상3상 결과를 공시했으며, 이후 하루만에 해당 임상결과에 기반해 이번 허가신청서를 제출했다. 회사는 해외 임상 데이터를 추가로 확보
아이젠사이언스(AIGEN Sciences)는 10일 영국 소재의 플록(FLock.io)과 연합학습 기반 인공지능(AI) 신약개발에서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제약 및 의료 기관들은 민감한 데이터를 이동하거나 노출하지 않고도 공동으로 AI모델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목표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이번 MOU에 따라 플록의 온체인 연합학습(federated learning) 인프라를 아이젠사이언스의 대규모언어모델(LLM) 기반 신약개발 엔진에 연동한다. 이를 통해 병원과 연구기
동아에스티(Dong-A ST)의 관계사 메타비아(MetaVia)는 10일 비만치료제로 개발 중인 GLP-1/GCG 이중작용제 ‘DA-1726’의 최대내약용량(maximum tolerated dose, MTD) 탐색을 위해 임상1상의 추가코호트 평가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메타비아는 비만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중인 임상1상 파트2에서 DA-1726 48mg 용량 코호트를 추가로 평가하기 위해 지난 9일 첫 환자에게 투약했다. 메타비아는 올해 4분기에 DA-1726 48mg 코호트에 대한 탑라인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평가를 통
HLB생명과학(HLB LifeScience)은 경기 화성시 라마다동탄호텔에서 개최된 임시 주주총회에서 HLB와의 '합병 계약서 승인의 건'이 가결됐다고 10일 공시했다. 이날 열린 임시주총에는 전체 보통주 발행량의 34%가 표결에 참여했고, 이 중 97% 이상이 합병에 찬성의사를 표명했다. HLB생명과학은 이번달 30일까지 주식매수청구권 기간을 거쳐 합병 기일인 오는 9월1일 합병을 완료할 예정이다. 이번 합병을 통해 HLB그룹은 HLB와 HLB생명과학의 신약개발 및 헬스케어 사업을 통합해 재무적 이점과 경영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
프리시젼바이오(Precision Biosensor)는 지난달말 일본 니프로(NIPRO)와 동물용 임상화학제품 ‘Exdia PT10V’의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프리시젼은 이번 계약을 통해 니프로가 보유한 네트워크역량을 기반으로 일본 내 동물병원에 제품을 공급할 예정이다. 이번 계약은 니프로와의 두번째 파트너십이다. 양사는 지난해 12월 인체용 임상화학제품 'Exdia PT10'의 공급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해당 제품의 분석장비와 전용시약은 지난 4일 각각 'Atlyze®', 'AtPanel®'이라는 브랜드로 일본
동국생명과학(Dongkook Lifescience)은 10일 의약품 생산역량 강화를 위한 신규 시설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170억원 규모이다. 동국생명과학은 생산능력(capacity, CAPA) 증대 및 제품 다양성 확보 등 사업확장을 위한 목적으로 안성공장의 신규라인을 증설한다. 기존 219만 바이알(vial) 생산에서 최대 CAPA를 기준으로 생산능력을 3배 이상 높이고, 저용량(5ml)부터 대용량(500ml)까지 다양한 제형을 생산할 수 있도록 진행할 계획이다. 공시에 따르면 투자금 170억원에는 생산설비와
듀셀(DewCell)은 지난 9일 인공혈소판의 임상용 의약품 생산을 위해 세포유전자치료제 전문기업 지씨셀(GC Cell)과 CDMO 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듀셀의 줄기세포 기반 인공혈소판 생산 플랫폼(en-aPLTTM)을 활용해 임상규제 수준에 부합하는 의약품을 생산하는 등 시장 진입을 가속화하기 위한 전략적 협력 차원에서 이뤄졌다. 이번 지씨셀과 협력은 GMP 시설에서 임상등급의 인공혈소판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듀셀이 중장기적으로 준비하고 있는 자체 생산시설 운영계획과 병행 추진되는
큐리언트(Qurient)는 ‘텔라세벡(telacebec)’의 호주 부룰리궤양 임상2상에서, 기존 임상대상인 환자 40명에 이어, 80명 규모의 추가 환자 모집을 시작했다고 10일 밝혔다. 텔라세벡은 균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사이토크롬bc1 복합체(cytochrome bc1 complex)를 억제하는 기전으로 작동한다. 이번 임상은 지난해 7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된 1차 시험의 연장으로, 시험 방식과 국가는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된다. 해당 임상은 호주 바원헬스(Barwon Health)에서 진행하고 있고 부룰리궤양 환자를 대상으로
에이비엘바이오(ABL Bio)가 인투셀(IntoCell)과 계약을 체결한지 1년도 안 돼, ‘특허 이슈’로 신규 항체-약물접합체(ADC) 연구개발 계약을 해지한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지난해 10월 이중항체(BsAb) ADC를 포함한 차세대 ADC 개발을 위해, 인투셀의 토포이소머라아제1(TOP1) 저해제 페이로드 ‘오파스-넥스테칸(OHPAS-Nexatecan)’ 플랫폼을 적용하는 기술도입 계약을 체결했었다. 그러나 이 계약이 이번에 해지된 것이다. 에이비엘바이오는 9일 공시를 통해 인투셀과 ADC 플랫폼 기술도입 계약에 대해 해지통
퓨쳐켐(FutureChem)은 9일 PSMA 타깃 진단용 방사성의약품 후보물질 ‘[18F]플로라스타민([18F]florastamin, FC303)’으로 진행한 2건의 전립선암 임상3상에 대한 임상결과보고서(CSR)를 수령했다고 공시했다. 퓨쳐켐은 FC303으로 진행한 재발 또는 전이성 전립선암 대상 임상3상, 전립선암 위험군 대상 임상3상 결과를 2건의 개별적인 공시를 통해 각각 발표했다. FC303은 PSMA를 타깃하는 리간드(플로라스타민)에 방사성 동위원소인 플루오린-18(18F)을 연결한 형태의 진단용 에셋이다. 먼저 전립선
전체 기사보기
노바티스, 시로낙스와 'BBB플랫폼' 1.75억弗 옵션딜
카고, 콘센트라에 "피인수"..CD22 CAR-T 2상중단 여파
리커전, 랠리 공동개발 ‘ENPP1 저해제’ 2500만弗 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CJ바이오사이언스, 윤상배 대표 내정.."천종식 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