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보존제약(Vivozon Pharmaceutical)은 13일 이사회를 열고 500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의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비보존제약은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신주 1061만5000주를 주당 4710원에 발행할 예정이다. 신주 배정 기준일은 오는 11월 13일이며, 12월 18~19일 구주주청약, 12월 23~24일 일반공모 청약을 진행한다. 신주 ...
아일랜드 소재의 애르스카(Aerska)가 지난 1일(현지시간) 시드 투자로 2100만달...
BMS(Bristol Myers Squibb)가 오비탈 테라퓨틱스(Orbital The...
지난 10년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세포·유전자치료제와 백신 개발을 이끌어온 피...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와 다이이찌산쿄(Daiichi Sankyo)의 시판...
프로티움, 누적 수주액 400억 달성..올해 216억 수주
네오이뮨텍, 오윤석 대표 사임..직무대행 체제
리제네론 "항암제 본격침투", 'PD-1' 초기 피부암 美승인
애르스카, 시드 2100만弗..뇌질환 ‘BBB 셔틀’ RNAi
피터막스 前FDA 소장, '갑작' 사임후 "일라이 릴리로"
리제네론파마슈티컬(Regeneron Pharmaceuticals)이 기존 면역항암제가 시판되지 않는 영역에서 꾸준히 PD-1 저해제 ‘리브타요(Libtayo, cemiplimab)’의 시장을 만들어가고 있으며, 지난 8일(현지시간) 면역항암제로는 처음으로 미국에서 고위험 피부편평세포암(CSCC) 수술후 보조요법(adjuvant treatment)으로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리제네론과 리브타요 공동개발 파트너사인 사노피는 앞서 2018년 진행성 피부편평세포암 치료제로 첫 시판허가를 받으면서 면역항암제 시장으로 진출했으나, 4년후 리제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가 이제는 대사이상관련 지방간염(MASH) 영역에서 주도권을 확실히하기 위해, 9일(현지시간) FGF21 플레이어 아케로테라퓨틱스(Akero Therapeutics)를 47억달러에 인수키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조건부가격청구권(CVR)까지 합치면 총 52억달러 규모이다. 딜은 연말까지 마무리될 예정이다. 아케로는 현재 주1회 피하투여 FGF21 유사체 ‘에프룩시퍼민(efruxifermin, EFX)’의 MASH(F2~F3)와 간경변(F4) 환자를 대상으로 각각 임상3상을 진행하고 있다. 내년 상반
2025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 소식을 아침에 접했을 때, 놀라움과 함께 깊은 공감이 밀려왔다. 우리 회사 진에딧(GenEdit)의 슬랙 채널은 금새 뜨거워졌다. 진에딧 최고기술책임자(CTO)인 팀 퐁(Tim Fong) 박사는 수상자 중 한 명인 프레드 램즈델(Fred Ramsdell) 박사가 대학원 동기라는 반가운 인연을 공유했다. 이근우 대표는 GenEdit 창업 후 중요한 미국 정부 연구과제를 지원할 때 램즈델 박사에게 직접 추천서를 받았던 경험을 떠올렸다. 면역학자로의 정체성이 분명한 로드리고 모라(Rodrigo Mora)
JW중외제약(JW Pharmaceutical)은 자사의 스타틴 2제복합제 ‘리바로젯(Livalozet)’을 복용한 이상지질혈증 환자 중 당뇨병을 동반한 환자군에서 LCL-콜레스테롤(LDL-C) 수치가 개선된 것을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리바로젯은 이상지질혈증을 치료하는 성분인 ‘피타바스타틴(pitavastatin)’과 ‘에제티미브(ezetimibe)’를 결합한 2제복합제로, 스타틴 제제 중 피타바스타틴과 에제티미브를 조합한 국내 첫 개량신약이다. 임수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 연구팀은 이상지질혈증 환자 중 당뇨병 동반
메디맵바이오(MediMabBio)가 일본 최대 바이오클러스터인 쇼난 헬스이노베이션파크(Shonan iPark)에서 열린 제약바이오 스타트업 피치 이벤트 ‘이노베이션 타이거(Innovation Tiger 2025)’에서 1위를 차지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노베이션 타이거는 아시아 헬스케어 분야의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개최되는 행사로, 한국, 일본, 대만의 79개 스타트업과 벤처기업 중 16개 기업이 최종 본선에 진출했다. 이번 심사에는 미국 머크(MSD), 다케다(Takeda), 일라이릴리(Eli Lilly), 에자이(Eisai),
휴젤(Hugel)은 13일 글로벌 CEO에 캐리 스트롬(Carrie Strom)을 영입했다고 밝혔다. 스트롬 글로벌 CEO는 휴젤의 글로벌 사업 전반을 이끌게 된다. 스트롬 휴젤 글로벌 CEO는 지난 2020년 5월부터 올해 2월까지 5년간 글로벌 제약사 애브비(AbbVie)의 수석부사장(SVP)이자 엘러간 에스테틱스(Allergan Aesthetics) 글로벌 총괄 사장을 역임했다. 엘러간은 지난 2020년 애브비에 630억달러 규모로 피인수됐다. 그는 지난 2011년 엘러간에 처음 합류한 뒤 50개국 이상에서 보툴리눔 톡신 ‘
신라젠(Sillagen)은 TTK/PLK1 저해제 ‘BAL0891’의 임상1상에 대한 임상시험계획(IND) 변경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받았다고 13일 밝혔다. 신라젠은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용량증량 하위시험에서 병용약물을 항암제 ‘카보플라틴(carboplatin)’에서 비원메디슨(BeOne Medicines, 구 베이진)의 PD-1 항체 ‘테빔브라(Tevimbra, 성분명: tislelizumab)’로 바꾸기 위해 지난 7월 FDA에 IND 변경승인을 신청한 바 있다. 이번 승인으로 신라젠은 BAL0891과
큐로셀(Curocell)은 튀르키예의 세포치료제 기업 비루니셀테라피(Biruni Cell Therapy)와 함께 튀르키예 내 CAR-T 치료제 제조 인프라 구축을 위한 컨설팅 용역계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공시에 따르면 계약규모는 총 14억원이고, 계약기간은 오는 2027월말까지다. 비루니는 튀르키예 최대 민간 의료기관인 비루니그룹(Biruni Group)이 설립한 세포·유전자 치료제 전문 자회사이다. 현재 자국내 CAR-T 치료제 상업화를 목표로 인프라를 구축중이며, 첨단 연구 활동과 더불어 비루니대병원(Biruni Un
GC녹십자(GC Biopharma)는 13일 미국 관계사 큐레보백신(Curevo Vaccine)과 대상포진 백신 후보물질인 ‘아메조스바테인(amezosvatein, 프로젝트명: CRV-101)’에 대한 위탁생산(CMO)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GC녹십자는 아메조스바테인의 상업화물량 일부를 생산하게 된다. 아메조스바테인은 대상포진 백신 선두인 GSK의 ‘싱그릭스(Shingrix)’와 마찬가지로 면역증강제가 포함된 재조합 단백질백신(adjuvanted recombinant protein vaccine)이다. 그러
셀트리온(Celltrion)은 이번달 초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앱토즈마’(Avtozma, 성분명: 토실리주맙)의 정맥주사(IV)제형을 미국에 출시했다고 13일 밝혔다. 셀트리온의 앱토즈마는 미국에서 오리지널 의약품 대비 약 35% 인하된 높은 도매가격(high WAC)으로 출시됐으며, 셀트리온 미국법인에서 직판할 예정이다. 셀트리온은 지난 1월 앱토즈마의 정맥주사 및 피하주사(SC) 제형에 대해 미국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시판허가를 획득한 바 있다. 앱토즈마 IV제형은 류마티스관절염(RA), 거대세포동맥염(GCA), 전신형 소
네오이뮨텍(NeoImmuneTech)은 오윤석 대표가 사임함에 따라 지난 10일 이사회를 열어 김태우 경영지원본부장(CFO)을 대표 직무대행으로 선임했다고 공시했다. 네오이뮨텍 관계자는 “이번 대표 변경은 개인적 사유에 따른 것으로, 회사의 재무 건전성이나 주요 개발경과와는 무관하다”고 말했다. 김태우 직무대행은 “회사의 주요 파이프라인인 NT-I7 개발 가속화와 안정적 경영체계 확립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오윤석 대표의 사임은 공시시점에 급작스럽게 확정된 사안이 아니며, 충분한 준비기간을 거쳐 대비해왔다. 최근 진행된 주요
롯데바이오로직스(Lotte Biologics)는 10일 미국에 본사를 둔 다국적 바이오텍과 전략적 제휴를 위한 사업협력의향서(LOI)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해당 파트너사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파트너사의 특정 치료제가 일본에서 허가 및 출시한 상황이며, 미국과 일본 등 다수 국가에서 후속 파이프라인 개발을 진행중이라고 설명했다. 두 회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단일클론항체(mAb) 및 항체-약물접합체(ADC) 제조협력 체계에 초점을 맞춰 장기 파트너십을 추진한다. 또한 이번 협력의 일환으로 롯
그래디언트의 자회사인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Gradient Bioconvergence)는 오는 17일부터 21일(현지시간)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럽종양학회(ESMO 2025)에 참가한다고 10일 밝혔다.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부스를 운영해 환자유래 오가노이드(PDO) 뱅킹,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hiPSC) 기반 뇌 오가노이드, AI 타깃 발굴 플랫폼 등을 학회에서 직접 알릴 계획이다. 회사에 따르면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가 자체적으로 확보한 PDO 뱅킹은 약 1000종 규모이다. 각 PD
전체 기사보기
제나스, 中이노케어서 ‘BTK' 등 자가면역 "20억弗 L/I"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일리미스, 릴리 게이트웨이랩스 입주..장수철 박사 영입
[인사]더바이오